사회 사회일반

포브스 선정 한국 부자 1위는 삼성 '이건희'…50위권 재산 17% 감소

삼성 이건희 회장삼성 이건희 회장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반도체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공정 과정에서 핵심인 3개 품목에 대해 수출제한이 내려져 삼성, LG 등이 긴장한 가운데 삼성과 SK의 오너 일가의 지분 가치 감소가 두드러진 것으로 파악됐다.

11일 재계에 따르면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최근 발표한 ‘2019년 한국의 50대 부자(2019 Korea’s 50 Richest People)‘ 명단에서 삼성 이건희 회장이 재산 168억달러(약 19조8,500억원)로 1위에 올랐다.


지난해(206억달러)보다 18.4%나 줄어들었으나 유일하게 100억달러 이상을 기록하며 ’대한민국 최고 부자‘의 자리를 지켰다.

또 아들인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은 지난해보다 한계단 떨어진 4위(61억달러)였다. 이어 최태원 회장은 7위에서 9위(28억달러)로 떨어졌다.

이와 관련해 포브스는 두 총수의 재산 감소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 부진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포브스 선정 ‘2019년 한국 50대 부자’ 중 상위 10명 (단위 : 10억달러)/자료 = 포브스포브스 선정 ‘2019년 한국 50대 부자’ 중 상위 10명 (단위 : 10억달러)/자료 = 포브스


셀트리온의 서정진 회장은 지난해보다 32.7%나 줄었으나 2위(74억달러)를 유지했으며, 김정주 NXC 대표는 11.3% 감소했음에도 지난해 5위에서 3위(63억달러)로 올랐다.

반면 태광실업그룹 박연차 회장은 베트남 나이키 운동화 공장의 실적 호조로 지난해 11위에서 올해는 7위(32억달러)로 상승했다.


카카오 김범수 의장도 ‘톱10’ 진입에 안착했다.

관련기사



이 중 가장 재산 가치가 많이 떨어진 기업인은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76억달러(4위)에서 올해는 절반에도 못 미치는 35억달러(6위)에 그쳤다.

이밖에 주요 그룹 총수급 가운데서는 현대차그룹 정몽구 회장이 작년보다 한계단 오른 5위(43억달러)를 차지했으며, 아들인 정의선 수석부회장은 11위(26억7,000만달러)였다.

LG그룹 구광모 회장은 17위(17억5,000만달러)에 올랐다.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은 48위(8억7,000만달러)에 그쳤으며 형인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45위·9억1,500만달러)보다 3계단 낮았다.

여성으로서는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동생인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이 각각 21위(16억달러)와 24위(14억8,000만달러)에 랭크됐다.

포브스는 “한국의 50대 부자 가운데 37명의 재산 가치가 1년 전보다 줄어들었다”면서 “50명의 재산 합계액이 지난해 조사 당시 1,320억달러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1,100억달러로 16.7%나 줄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조사 때 ’10억달러대 자산가(billionaire)‘가 역대 최고치인 48명에 달했으나 올해는 40명에 그쳤다고 덧붙였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