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케뱅, 급한 불은 껐지만...영업 정상화 '험난'

가까스로 276억 유증 완료

대출 정상적으로 영업하려면

수천억원 추가 자본확충해야

주요 주주 지원사격 어렵고

새로운 주주 영입도 마땅찮아




대출 중단에 놓인 케이뱅크가 소규모 증자로 ‘급한 불’부터 껐다. 향후 대규모 자본확충을 통해 영업 정상화에 나선다는 계획이지만 현실적으로 적지 않은 난관을 헤쳐나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전환주 유상증자를 추진한 결과 지난 12일 276억원 규모의 자본금을 확충했다.


당초 케이뱅크는 지난달 증자 대금 납입을 완료하려고 했지만 주주사 간 이견으로 두 차례 대금 납입이 이달 중으로 연기됐다. 증자 규모도 목표액인 412억원에는 다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케이뱅크의 한 관계자는 “보다 근원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대규모 증자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번 증자가 소규모 수준에 그친 것은 차후 추가 증자와 맞물린 데 따른 결과”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이번 증자는 케이뱅크의 주요 주주인 우리은행과 KT 등이 보통주 지분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전환우선주를 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소규모 증자를 통해 케이뱅크는 총 자본금이 5,051억원으로 늘어나며 당장 급한 불은 끄게 됐다. 케이뱅크는 모든 대출상품 영업을 전면 중단할 정도로 심각한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어 영업 정상화를 위해서는 수천억원 규모의 추가 증자가 절실하다. 카카오뱅크의 자본금이 1조3,000억원인 것을 고려하면 절반도 안 되는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향후 케이뱅크에 대한 대규모 자본확충 시나리오로는 우리은행이 구원투수로 나서는 방안이 거론된다. 주요 주주 가운데 최대주주가 농협중앙회인 NH투자증권은 비금융주력자(산업자본)로 분류돼 케이뱅크 지분 확대에 제약이 있어서다. 다만 우리은행도 보험·증권 등 비은행 부문 강화를 위한 인수합병(M&A)에 나서야 하는 만큼 자본여력이 크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새로운 주주를 영입하는 방안을 두고도 회의적인 전망이 나온다. 이미 사모펀드인 IMM프라이빗에쿼티(PE)가 케이뱅크의 후발 주주로 참여한 상황에서 섭외할 만한 재무적 투자자(FI)를 물색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처럼 자본확충의 매듭이 꼬인 것은 주요 주주인 KT가 케이뱅크의 대주주로 올라설 길이 사실상 막혔기 때문이다. 앞서 KT는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검찰의 고발을 당하면서 금융 당국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가 무기한 연기된 상황이다. 국회에서는 KT가 케이뱅크의 대주주가 되기 어려워진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법 개정에도 나섰다. 김종석 자유한국당 의원은 공정거래법 위반 등을 인터넷은행 대주주 적격성 심사 요건에서 제외하는 내용의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여권 일부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법 개정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워낙 커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