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8인 8색의 발레 'KNB 무브먼트 시리즈 5'

안무가 육성·국립발레단 레퍼토리 확장 목표

8명의 안무가가 선보이는 다채로운 무대

국립발레단이 ‘KNB 무브먼트 시리즈5’/사진제공=국립발레단국립발레단이 ‘KNB 무브먼트 시리즈5’/사진제공=국립발레단



국립발레단이 ‘KNB 무브먼트 시리즈5’로 하반기 활동의 신호탄을 올렸다. 세미 클래식발레부터 콜라보레이션까지 각양각색의 무대가 준비됐다.

국립발레단은 오는 27~28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에서 안무가 육성 프로젝트 ‘KNB 무브먼트 시리즈 5’를 공연한다. 강수진 예술감독 부임 이듬해인 2015년 시작된 프로젝트는 새로운 안무가 육성과 국립발레단 레퍼토리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공연에는 총 8명이 안무가로 참여한다. 송정빈의 세미 클래식 발레인 ‘아마데우스 콘체로트’부터 재즈댄스와 댄스스포츠를 합친 김명규의 ‘3 테이블즈’까지 다양한 작품이 무대에 오른다. 코믹한 전개가 특징인 최미레의 ‘제 키는 2m 조금 안 돼요’, 표정·근육 등 무용수 본연에 집중한 신승원의 ‘고 유어 온 웨이’, 봄을 주제로 한 이영철의 ‘계절 ; 봄’, 영상과 음악까지 직접 작업한 배민순의 ‘동행(同行)’ 등을 준비했다.

관련기사



강동휘와 김나연은 첫 안무작을 선보인다. 강동휘는 미국 싱어송라이터 빌리 아일리시에게 영감을 받은 ‘배드 가이’를, 김나연은 모던발레에 섬세한 움직임을 더한 ‘아몬드’를 공연한다. 8명의 안무가는 움직임, 스토리, 의상, 조명, 무대, 음악 등 작품 전반을 총괄했다.

올해는 지난 4회와 달리 유료 입장으로 전환했다. 국립발레단은 “공연 당일 객석을 채우지 않는 ‘노쇼’ 관객들이 점차 늘어났다”며 “최소한의 가격으로 빈 객석을 방지하는 동시에 작품 퀄리티를 높이기 위한 선택”이라고 말했다. 티켓 가격은 1층석 1만원, 2층석 5,000원이다.

KNB 무브먼트 시리즈는 2015년부터 각종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다. 2015년 ‘요동치다’를 안무한 강효영 솔리스트는 2017년 브누아 드 라 당스 안무가 부문 후보에 올랐으며 ‘허난설헌-수월경화’ ‘호이 랑’ 등 전막 발레로 국립발레단 정기 공연 레퍼토리를 확장했다. 이영철의 ‘빈집’, 송정빈의 ‘포모나와 베르툼누스’, 배민순의 ‘인사이드아웃’, 김명규의 ‘이몽룡아’ 등도 국립발레단의 갈라 공연에 오르고 있다.


2018 송정빈의 ‘포모나와 베르툼누스’/사진제공=국립발레단2018 송정빈의 ‘포모나와 베르툼누스’/사진제공=국립발레단


2015 강효영의 ‘요동치다’/사진제공=국립발레단2015 강효영의 ‘요동치다’/사진제공=국립발레단


2015 이영철의 ‘빈집’/ 사진제공=국립발레단2015 이영철의 ‘빈집’/ 사진제공=국립발레단


한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