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2022년까지 ‘생태친화 어린이집’ 125곳 만든다

시·공간 제약 없이 ‘자연·아이·놀이’ 중심 보육과정 운영

서울의 한 어린이집 아동들이 생태친화형 교육의 일환으로 텃밭을 가꾸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서울의 한 어린이집 아동들이 생태친화형 교육의 일환으로 텃밭을 가꾸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에서 자연 체험과 놀이 활동을 대폭 늘린 어린이집이 설립된다.

서울시는 영유아의 생태체험과 놀 권리를 보장하는 거점형 ‘생태친화 어린이집’을 올해 20곳에서 시작해 2022년까지 25개 전 자치구별로 5개씩 총 125곳을 운영한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어린이집은 정해진 일정에 따라 학습과 수업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로 인해 아이들의 놀이시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가 지난 4월 보육 교직원과 부모 2,01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90% 이상이 생태친화형 보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서울시가 선보이는 생태친화 어린이집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두지 않고 자연·아이·놀이 중심의 다양한 보육 과정을 운영한다. 바깥 활동에서도 짜인 일정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 놀이를 주도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어린이집 내부나 인근에 텃밭이나 실내외 놀이터 등을 조성하고 유아숲체험원, 태양의놀이터, 시민자연학습장 등 서울시 유관 시설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우선 올해 4개 구를 선정해 구마다 5곳씩 총 20곳을 운영할 예정이다. 오는 18일 자치구 대상 설명회를 열고 29일까지 사업 신청을 받는다. 사업대상으로 선정된 각 자치구는 자체심사를 통해 거점형 어린이집 5개소씩을 선정한 후 8월 14일까지 최종 사업계획을 제출해 승인을 받아야 한다.

서울시는 “선정된 어린이집은 오리엔테이션을 거쳐 8월부터 12월까지 생태보육 컨설팅을 진행한다”며 “어린이집 내·외부의 생태 놀이공간 조성을 위한 환경조성비를 지원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