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포자' 사라질까…초교에 AI가 가르치는 '수학 게임' 교실 생긴다

게임으로 수학 익히면 AI가 실력 분석해 학습관리

초등학생 1~2학년 대상으로 5개 학교서 시범 활용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교육부가 이르면 내년부터 일부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AI 기반 수학 콘텐츠를 제공할 방침이다.

24일 교육부에 따르면 앞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은 태블릿PC를 통해 귀여운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게임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학을 익히게 된다. 학생들이 놀이형 콘텐츠를 즐기는 동안 AI는 학생의 답변 반응 속도나 답변 내용을 분석해 문제의 난이도를 조절해 학습을 돕는다.

교육부는 최근 한국과학창의재단과 함께 AI 초등수학 콘텐츠 개발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수학 교육 전문가들은 수학이 과목 특성상 저학년 단계에서 기본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지 못하면 학년이 올라갈수록 따라잡지 못해 흥미와 자신감을 잃는 경향이 짙다고 말한다.


창의재단에 따르면 2015년 조사 결과 수학 공부를 포기했다고 답한 학생의 비율은 초등학생 8.1%, 중학생 18.1%, 고등학생 23.5%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늘어났다. 현장 조사에서도 학생들이 계산 위주의 문제풀이식 교육 때문에 수학에 대한 흥미를 잃고 있고, 교사들도 학생별 수준 차이가 심한 탓에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교육부와 창의재단은 문제풀이식 교육에서 벗어나 게임 같은 놀이형 콘텐츠를 개발해 학생들의 ‘수 감각(number sense)’ 증진을 이끌어내겠다는 입장이다. 수 감각이란 수의 의미와 크기·변화, 수 사이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포자(수학을 포기하는 학생)’는 중·고교 때가 아니라 초등 1∼2학년 때 생기기 시작한다”며 “덧셈에서 한 자리를 올리거나 수를 나누고 분수를 만드는 게 어려워 일찌감치 무너지는 아이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놀이형 콘텐츠’와 ‘AI 기반 학습관리시스템(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을 상하 결합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이들이 컴퓨터 게임 같은 놀이를 통해 숫자와 사칙연산을 익히고, AI 시스템이 아이들이 자주 틀리거나 어려움을 겪는 수학 개념이 무엇인지 분석해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한편 데이터를 축적한다.

이번 AI 기반 초등 수학 교육 시스템은 교육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개발하는 ‘지능형 학습분석 플랫폼’의 일환이다. 플랫폼 구축이 한 번 완료되면 학생들은 수학뿐 아니라 국어·영어 등 다른 과목에서도 AI가 제공하는 맞춤형 콘텐츠로 학습하게 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사교육도 최근 AI를 활용하고 있지만, 진도를 빨리 빼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서 공교육에서는 모든 아이가 공평하게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수업에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하는 방향으로 AI를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정민수 인턴기자 minsoojeong@sedaily.com

정민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