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민 45명 중 1명꼴로 식욕억제제 처방…30대 여성 가장 많아

식약처, 최근 10개월간 마약류 처방 빅데이터 분석…여성이 93%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10개월 동안 ‘식욕억제제’를 처방받은 국민이 전체 45명 중 1명꼴인 2.2%이며 대부분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제DB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10개월 동안 ‘식욕억제제’를 처방받은 국민이 전체 45명 중 1명꼴인 2.2%이며 대부분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제DB



최근 10개월간 ‘식욕억제제’를 처방받은 국민이 전체 45명 중 1명꼴인 것으로 드러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4월까지 약 10개월 동안 취급된 497만 건의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빅데이터를 활용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식욕억제제는 뇌에 작용해 배고픔을 덜 느끼게 하거나 포만감을 증가시키는 향정신성의약품을 말한다. 이 기간 식욕억제제를 처방받아 사용한 환자는 116만명인데 이는 전체 국민의 2.2% 정도다. 의료용 마약류를 사용하는 전체 환자 수 1,597만명 대비로는 7.3%에 해당한다.


식욕억제제를 처방받는 전체 환자 중 여성 비중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욕억제제 처방 환자의 92.7%(105만명)는 여성이었고, 남성은 7.3%(8만명)에 불과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 환자가 30.3%로 가장 많았다.

관련기사



한편 식욕억제제를 안전하게 사용하지 않은 정황도 드러났다. 식욕억제제는 다른 성분과 함께 투여하지 않고, 투여기간을 4주 이내로 해야 한다. 하지만 식욕억제제를 처방받은 환자의 10%는 2개 성분 이상을 처방받았다. 전체의 30%가 투여기간 4주를 초과해 처방받는 등 적정량을 지키지 않는 사실도 확인됐다. 식욕억제제를 장기간 복용할 경우 폐동맥 고혈압과 심각한 심장질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

식약처는 이런 내용이 담긴 ‘의료용 마약류 안전사용을 위한 도우미’ 서한을 의사들에게 전달했다. 식약처는 “이 서한을 통해 향정신성 식욕억제제의 적정 처방과 사용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안전한 마약류 사용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