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일본 제치고…한국 전자 '세계 톱3 생산국'

반도체 쏠림현상 극복은 숙제

한국이 지난해 전 세계 전자업계에서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 생산국 지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5년간 주요국 가운데 세 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글로벌 정보기술(IT) 강국’의 입지를 굳혔다는 평가다. 하지만 반도체 등 전자부품에 대한 지나친 ‘편중’은 극복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가 발간한 ‘세계 전자산업 주요국 생산동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전자산업 생산액은 1,711억100만달러(약 202조7,000억원)로 집계됐다.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8%로 중국(37.2%)과 미국(12.6%)에 이어 세 번째였다. 5년 전인 2013년(1,111억7,900만달러)과 비교하면 53.3%나 늘어난 것으로, 순위도 일본을 제치고 한 계단 올라섰다.

특히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9%에 달하면서 상위 20개국 가운데 베트남(11.7%)과 인도(10.9%)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중국과 미국은 각각 2.9%와 1%였고 일본은 -2.3%를 기록했다.


문제는 지난해 전체 전자산업 생산에서 차지한 전자부품 비중이 77.3%로 5년 전보다 18.8%포인트나 높아지면서 의존도가 심화했다는 것이다. 무선통신기기와 컴퓨터가 각각 10%와 7.8%로 그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업계 관계자는 “지난 2017년과 지난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 덕분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역대 최고 실적을 올리면서 전자부품의 비중이 큰 폭으로 확대됐다”면서 “덕분에 경쟁국인 일본을 제치고 3위로 올라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경우 가장 비중이 큰 컴퓨터 분야가 전체의 34.2%를 차지했고 미국도 무선통신기기 분야의 비중이 최대였으나 32.3%에 그치며 분야별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일본은 전자부품 분야의 비중이 56.6%로 가장 높았다. 부문별로는 전 세계 전자부품 생산에서 지난해 한국이 19.2%의 비중으로 중국(24.1%)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무선통신기기는 4.3%의 비중을 차지하며 중국과 미국, 베트남, 인도 등에 이어 다섯 번째였고 컴퓨터 3.3%로 중국과 멕시코, 미국, 일본에 이어 5위에 랭크됐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LG전자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R&D)과 설비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면서 한국이 전 세계 전자업계에서 입지를 넓혔으나 반도체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중국·미국 등과 비교했을 때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자 업계의 한 관계자는 “쏠림에 대한 우려도 나올 수 있지만 반도체는 분명히 높게 평가해야 할 성공 사례”라며 “제2, 제3의 삼성전자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