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뜩이나 내수와 기업 투자가 위축된 상황에서 미중 무역갈등과 일본의 수출규제까지 더해지면서 시장이 요동치는 것이다. 기업 신용도에 경고등이 켜진 마당에 금융시장까지 불안정하면 자금조달 등에 차질이 생길 수 있어 걱정스럽다. 특히 일본계 금융사들이 신규 대출과 만기연장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약 21조원에 달하는 차입금을 한꺼번에 회수할 경우 더 큰 충격이 불가피하다.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때와 같은 외환부족 사태까지는 아니더라도 한국 시장에 대한 대외 신인도에는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실물경기는 더 위기로 몰릴 수 있다. 금융시장이 휘청이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봐서는 안 되는 이유다. 그런데도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일본이 금융보복에 나서더라도 다른 데서 빌릴 수 있어 큰 어려움은 없다”고 장담했다.
시장 불안심리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 의연하게 대처하자는 취지에는 공감한다. 하지만 복합위기가 닥친 지금은 그렇게 간단한 상황이 아니다. 모든 경우의 수를 상정한 만반의 대응책을 준비해야 한다는 얘기다. 마침 금융당국이 3일 기관장들과 함께 대책회의를 열어 대응절차에 착수한다니 다행이다. 치밀하고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