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농업교류로 한반도 평화…북한 관련 전문가 연해주로 모인다

남북·동북아 농업협력 국제 컨퍼런스…북한 관련 국내외 전문가 40여명

경기도가 최근 ‘2019 아시아태평양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국제대회’를 개최한 데 이어 농업분야 남북교류협력을 통한 한반도 평화정착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도는 (사)통일농수산사업단, (사)동북아평화경제협회와 함께 오는 7일 러시아 연해주 우수리스크에서 ‘2019 남북 및 동북아 농업협력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한반도 평화시대에 발맞춰 남북 농업 교류협력사업의 준비와 정보교류를 목적으로 남한과 북한, 동북아시아 지역 국가 간 소통 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열린 행사다.


행사는 한국·러시아·중국·일본 등 국내외 농촌·농업개발 전문가 4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네 차례의 세션 토론을 가질 예정이다. 농업분야 협력 활성화와 북한 농촌 지역의 자립 및 지속 가능한 종합개발 방안에 대해 열띤 논의를 나누게 된다.

관련기사



첫 번째 세션인 ‘북한 농업 현황과 과제’에서는 남북농업협력 사례와 과제, 김정은 시기 협동농장과 포전제의 현황과 전망, 김정은 시기 경제 개혁과 북러협력, 북중러 농업개혁 비교 등을 발표하고 토론한다. 두 번째 세션인 ‘지자체의 동북아 및 북한농업협력 방안’에서는 경기도 축산정책 방향과 남북 축산 교류방안, 중국 동북지역 학술단체와 북한과의 지식공유, 남북러 삼국농업협력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세 번째 세션인 ‘북한의 개혁개방과 농업’에서는 러시아 극동과 북한과의 경제협력 현황과 발전방안, 경기도 농업정책과 북한농업협력의 연계방안, 북한 경제개혁조치와 북일 교류방안, 평양의 외자유치와 대외협력 등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게 된다.

네 번째 세션인 ‘연해주에서의 남북러 농업협력의 현황과 발전방향’에서는 남북러 농업협력, 연해주 농업현황, 연해주 맞춤형 농업협력 과제 등을 주제로 의견을 공유한다.

이화영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남북개발협력의 파급력이 가장 큰 분야로 향후 대북제재가 완화될 경우 가장 먼저 활발히 추진해야 하는 분야가 바로 농업”이라며 “이번 콘퍼런스를 시작으로 앞으로 남북 및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동북아 농업경제협력 공동체’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경기도가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