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나바로, 中 환율조작국 지정 하루 만에 “금리 최대 1%p 내려야”

연준에 금리 추가 인하 노골적 요구

미중 갈등 장기화 대비 관측




미국 정부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지 하루 만에 또다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큰 폭의 금리인하를 요구하고 나섰다.


대중 강경파로 꼽히는 피터 나바로(사진) 미국 백악관 무역·제조업 정책국장은 6일(현지시간) 폭스뉴스에 출연해 “미국의 기준금리를 다른 나라와 비슷하게 맞추기 위해 연준이 연말 전에 기준금리를 최소 0.75%포인트 또는 1%포인트 인하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수치까지 제시하며 노골적으로 추가 금리인하를 요구한 것이다.

관련기사



그는 “미국과 다른 나라의 기준금리 차이가 너무 크다”며 “그것이 미국의 일자리를 희생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의 경제는 바위처럼 견고하다”면서도 “지난해 4차례에 걸친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은 너무 빨리, 너무 나갔으며 성장률을 희생시켰다”고 지적했다.

나바로 국장은 금리 인상이 미국 달러를 강세로 만들어 수출을 억제했다면서 반면에 중국은 외환시장에 개입해 환율을 조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단호한 입장을 취하자마자 중국이 환율 안정화를 발표했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전날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자 중국 인민은행이 오는 14일 홍콩에서 환율방어용 채권인 중앙은행증권 300억위안어치를 발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 환율 안정 조치 계획을 내놓은 것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