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日 수출 규제 맞서 M&A 금융협의체 이달 말 출범

자금 지원·컨설팅 등 역할…글로벌 IB 한국 지점도 참여

금융위원회/서울경제DB금융위원회/서울경제DB



일본의 수출 규제에 맞서 정책금융기관을 중심으로 한 ‘M&A 인수금융 협의체’가 이번 달 말께 공식 출범한다. 협의체에는 글로벌 투자은행(IB) 등도 참여해 성공적인 M&A를 도울 예정이다.

앞서 정부는 국내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자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M&A 지원 방침을 결정했다. 일본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한국 배제 조치의 직접 타격을 받을 분야의 체질 개선을 위한 조치다.

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3대 국책은행과 합동으로 이달 말 해외 M&A 인수금융 협의체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협의체는 자금 지원은 물론 M&A 대상 기업 발굴, 컨설팅 등의 역할을 맡는다. 무엇보다 글로벌 IB의 한국 지점이 협의체에 힘을 보탠다.


금융위 관계자는 “현재 참여 주체 모두가 협의체 결성에 동의한 상황으로, 글로벌 IB는 M&A 해외 소싱을 맡을 것”이라며 “현재 협의체의 운용방안을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M&A 지원 대상에는 창업하거나 사업 재편·다각화 등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신규 진출하는 기업이 포함된다. 이들 기업에는 소재·부품·장비 관련 핵심기술 획득이나 공급라인 확보 등을 위한 인수 자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M&A 지원 여력은 전용 기금 2조5,000억원(기업은행 1조원·수출입은행 1조5,000억원)이다. 여기에 2조5,000억원 규모의 산업은행 사업경쟁력 강화 지원 자금도 동원된다.

또 정부는 M&A 법인세 세액공제에도 나설 예정이다. 해외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 인수금액에 대해 2022년 말까지 대기업 5%, 중견기업 7%, 중소기업 10%의 공제율로 법인세 세액공제를 해준다.
/송윤지 인턴기자 yjsong@sedaily.com

송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