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부산 주력산업 日의존도 35%…'탈일본'으로 지역기업 돕는다

작년 부산지역 상위 100대 품목 일본 의존도 35.3%로 높아

수입국 다변화 지원사업으로 지역 제조기업 부품수급 문제 막겠다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부산시와 부산테크노파크가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지역 기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수입국 다변화 지원사업을 벌인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기준으로 부산지역의 총 수입액 148억달러 가운데 일본에서 수입한 금액은 25억달러로 16.8% 비중이다. 상위 100대 품목만 놓고 보면 일본 의존도는 35.3%로 높은 편이다. 주로 기계, 철강·금속, 전자·전기 등 지역 주력산업 생산에 필요한 품목이어서 일본 수출규제가 장기화할 경우 관련 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우려가 있다.


이에 시는 수입국 다변화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 기업의 ‘탈일본’을 돕겠다는 계획이다. 긴급 예산을 편성해 시제품 및 표본 구매비, 물류비, 판매자 초청 경비, 통·번역 비용뿐 아니라 기업 제안 부분도 지원하기로 했다. 김윤일 부산시 일자리경제실장은 “오사카 무역사무소, 부산경제진흥원 등 4개 수출기업 피해센터에서 파악한 결과 지금까지 지역기업 피해는 거의 없지만 일본 수출규제가 장기화하면 지역 제조기업의 부품수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추경을 통해 충분한 예산을 확보해 지역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주요 부품이나 소재 등을 일본에서 수입하는 부산지역 제조업체는 신규 수입국으로 변경을 희망할 경우 오는 15일부터 부산시 해외마케팅통합시스템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정민수 인턴기자 minsoojeong@sedaily.com

정민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