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3세대 인공심장’ 이식 노인 1,000일 넘게 생존

삼성서울병원 심부전팀 수술

'2세대 심장' 7년 넘게 작동중

삼성서울병원에서 3세대 인공심장(좌심실 보조장치·LVAD)을 이식받은 심부전 환자의 생존기간이 국내 처음으로 1,000일을 넘겼다.

7일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심장뇌혈관병원 심부전팀이 2016년 9월 B씨(당시 76세)에게 최신 모델인 3세대 좌심실 보조장치를 이식했는데 합병증 없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앞서 2012년 2세대 인공심장 이식수술을 받은 A씨(당시 75세)도 7년 넘게 유지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심부전팀이 인공심장 이식수술을 위한 다학제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서울병원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심부전팀이 인공심장 이식수술을 위한 다학제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서울병원



좌심실 보조장치는 인공심장의 일종으로 좌심실로 들어온 혈액을 대동맥으로 뿜어내 우리 몸 구석구석에 공급하는 기계 장치다. 과거에는 뇌사자로부터 심장을 기증받을 때까지 환자 생명을 연장하고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1∼2년 동안 사용하는 ‘임시 유지용’ 성격이 강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인공심장 유지기간이 길어지는 추세다. 특히 고령 환자는 심장이식 우선순위에서 밀려 장기간 대기해야 하거나 심장이식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인공심장이 최종 치료 역할을 맡기도 한다.


최진오 순환기내과 교수는 “해외에서는 10년 이상 건강하게 잘 유지하고 있다는 보고도 많다”며 “내과 및 흉부외과 의사간의 협력, 전문 코디네이터와 환자·가족의 도움과 소통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조양현 심장외과 교수는 “인공심장 이식수술이 성공하려면 다양한 치료방법을 입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팀워크가 중요하다”며 “환자가 고령일지라도 적절한 시점에 인공심장을 이식 받으면 삶의 질 향상과 장기 생존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서울병원은 국내 최초로 2세대·3세대 인공심장 이식수술, 최소침습 이식수술에 성공했으며 국내 최고령 환자 수술, 국내 최장 유지기간 달성 등 국내 인공심장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