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CJ제일제당 간편식 덕에 2분기 매출 5조5,153억…전년 대비 23.8% ↑

영업이익은 5% 줄어든 1,753억원

“하반기 수익성 강화 집중” 방침

CJ제일제당(097950)이 식품사업부문의 호조로 올해 2·4분기 매출은 대폭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CJ제일제당은 8일 실적발표를 통해 2·4분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8% 증가한 5조5,15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반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한 1,753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그린 바이오와 생물자원을 포함한 바이오사업부문은 전년 대비 8% 증가한 1조 2,315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식품 조미소재인 핵산의 시황 호조에 따른 판가 상승과 사료용 아미노산인 메치오닌의 수요 증대에 따른 판매량 확대로 그린 바이오 매출이 21% 성장한 점이 눈에 띄었다. 그린 바이오의 영업이익은 고수익 제품의 시장 지배력 확대와 원가 절감 효과에 힘입어 2013년 1·4분기 이후 분기 최대치인 593억원을 달성했다. 반면 생물자원사업은 글로벌 사료 판매 증가에도 베트남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에 따른 조기 출하 및 소비 위축으로 축산가가 하락하며 매출이 7% 감소했다

관련기사



식품사업부문 매출은 전년보다 59% 증가한 1조9,54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출시한 비비고 죽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과 비비고 국물요리 등 가정간편식(HMR) 제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6% 성장했다. 김치와 햇반 역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2%와 10%씩 증가하며 매출 성장을 도왔다. 가공식품의 글로벌 매출은 6,08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슈완스의 편입과 함께 미국과 중국의 유통채널 확대효과가 지속되며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58% 확대됐다. 이로써 가공식품의 해외매출 비중은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다만 식품사업부문의 영업이익은 판촉비 증가와 원재료비 상승, 진천공장 초기 투자비용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3%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CJ제일제당은 하반기 수익성 강화에 집중하기로 했다. 핵심제품과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생산공정 개선 및 운영 최적화를 통한 원가절감 등 비용 효율화 작업을 강도 높게 추진할 계획이다. 바이오 부문도 핵산과 트립토판 등 고수익군 제품의 생산 및 판매를 확대하고, 라이신과 메치오닌 등 대형 제품은 원가 경쟁력 강화에 힘쓴다는 전략이다. 생물자원 부문은 하반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에서 축산가가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보여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수익성 강화에 최대한 초점을 맞출 것”이라며 “글로벌에서는 슈완스와의 시너지 창출을 통해 ‘수익성과 성장성’의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