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반중 정서' 홍콩에 경고?…中선전서 무장경찰 탄 장갑차 집결

공청단 공식 웨이보 “무장경찰, 관련법 따라 폭동·소요 진압할 수 있어”

홍콩 기본법 18조, 무장경찰 개입 규정…홍콩 향한 경고 분석 나와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시위가 계속된 지난 11일 홍콩의 사이완호 지역에서 시위진압 경찰이 주민들과 대치하고 있다. /AP=연합뉴스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시위가 계속된 지난 11일 홍콩의 사이완호 지역에서 시위진압 경찰이 주민들과 대치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에 반대하는 홍콩 시위가 갈수록 격화하는 가운데 홍콩 바로 옆에 있는 도시 선전에 무장경찰이 탄 장갑차와 물대포가 대규모로 모이는 모습이 목격됐다.

12일 홍콩 명보에 따르면 홍콩과 바다를 사이에 둔 선전시 선전만 일대에 지난 10일 대규모 장갑차와 물대포가 집결하는 모습이 포착됐으며 이를 찍은 영상이 온라인에 확산됐다. 한 중국 누리꾼은 “선전에 무장경찰 부대의 물대포와 장갑차 200대 이상이 집결하고 있다”며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려는지 알려면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웨이보(중국판 트위터)를 보라”라는 글을 썼다. 같은 날 중국 공산당 산하 조직인 공청단은 웨이보 공식 계정에 “인민무장경찰 부대는 폭동, 소요, 엄중한 폭력 범죄, 테러 등 사회안전과 관련된 사건을 진압할 수 있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중국에선 인터넷 통제가 매우 엄격하다. 그럼에도 무장경찰 장갑차 등이 집결하는 모습을 찍은 동영상이 온라인을 통해 유포되고, 같은 날 공청단이 소셜미디어에 이러한 글을 올린 것은 우연이 아니라는 게 중국 누리꾼들의 주장이다. 누리꾼들은 홍콩의 송환법 반대 시위에 중국 중앙정부가 개입할 수 있다는 ‘경고’성 메시지라고 봤다.

관련기사



홍콩에서 벌어진 송환법 반대 시위는 반중 정서까지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중국 국가 휘장을 훼손하고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바다에 버린 데 이어 전날 시위대는 1997년 홍콩 주권반환을 기념하고자 중국 중앙정부가 선물한 ‘골든 보히니아’ 동상을 훼손하기도 했다. 빅토리아공원에서 열린 집회 현장에서는 한자와 영어로 홍콩 독립을 뜻하는 ‘香港獨立 HONG KONG INDEPENDENCE’라는 문구가 적힌 깃발도 눈에 띄었다.

홍콩 문제 전문가인 톈페이룽 베이항대학 교수는 최근 좌담회에서 “홍콩 기본법 18조에는 ‘비상사태’가 일어날 때 본토의 경찰과 무장 경찰도 사용될 수 있다고 돼 있다”면서 “인민해방군이 유일한 선택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홍콩 기본법 18조는 혼란이 홍콩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 국가 안보나 통일에 위협이 가해지는 ‘비상사태’에까지 이르면 중국 중앙정부가 관련법에 근거해 홍콩에 개입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일각에선 선전에서의 무장경찰 부대 집결이 오는 10월 1일 신중국 건국 70주년 기념식을 준비하기 위한 훈련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하지만 지난 10일 이뤄진 선전 경찰의 훈련 등으로 볼 때 홍콩을 향한 ‘경고’라는 목소리에 더 힘이 실린다. 지난 10일 선전 경찰은 1,500명의 경찰관이 홍콩 시위대와 비슷하게 검은색 셔츠를 입고 헬멧을 쓴 시위대 2,000명을 막는 폭동 방지 훈련을 했으며, 관영 매체 인민일보는 이를 자세히 소개한 바 있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