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블룸버그 "화웨이, 美서 로비활동 강화"

미중 갈등 장기화 움직임 보이자

로펌과 계약…'안보' 등 현안 집중

미중 무역전쟁으로 미국 행정부의 집중공격을 받고 있는 중국의 세계 최대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가 미국에서 로비스트를 고용하는 등 로비 활동을 재차 강화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3일(현지시간) 입수한 상원 문건을 근거로 화웨이가 지난달 미 로펌 ‘시들리오스틴’과 계약하고 수출규제와 무역제재, 기타 국가안보 관련 현안에 초점을 맞춰 로비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시들리오스틴은 기존에 화웨이가 미국의 대(對)이란 제재를 위반하고 이란에서 사업을 하며 최소 4개 금융기관을 속인 혐의로 기소된 사건도 맡고 있다.

이에 앞서 화웨이는 로펌 ‘스텝토앤존슨’ 및 ‘존스데이’와도 계약한 바 있다. 존스데이의 파트너 변호사인 사미르 자인은 과거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서 일한 인물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4월 화웨이가 ‘오바마 인사’인 자인을 로비스트로 고용한 사실이 알려지자 트위터를 통해 “좋지 않고, 용납할 수 없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지난해 말 미국 내 로비 활동을 거의 중단했던 화웨이가 이를 재개한 것은 미중 갈등 격화로 상황이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5월 국가안보를 이유로 화웨이와 거래하려는 미국 기업들에 사전 승인을 얻도록 했다가 6월 미중 정상회담 이후 국가안보 우려가 없는 분야에 대해서는 미국 기업들이 화웨이와 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라며 제재완화를 시사했다. 그러나 이달 초 미중 무역협상이 결렬되자 미국이 3,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예고하고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등 양국 갈등이 다시 격화하면서 화웨이 관련 제재 완화가 보류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화웨이에 대해 블랙리스트 지정과 별도로 국방수권법(NDAA)에 따라 미국 정부기관이 중국 업체의 통신·감시 장비를 구매하지 못하도록 하는 규정도 적용했다.

이처럼 상황이 불리해지자 지난해 말 거의 중단했던 미국 내 로비 활동을 화웨이가 재개한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