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WP “트럼프, 반대하던 므누신에 ‘中 환율조작국 지정’ 압박”

스티브 므누신 미 재무장관. /로이터연합뉴스스티브 므누신 미 재무장관.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재무부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것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반대하는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을 압박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15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므누신 장관이 중국이 재무부의 환율조작국 기준에 맞지 않는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를 이행하기 여러 차례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중국의 위안화 환율이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던 달러당 7위안을 2008년 이후 처음 돌파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므느신 장관에 압박을 가해 결국 환율조작국 지정을 관철했다고 WP는 전했다.


지난 5일 미 재무부는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권한으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재무부는 “최근 중국은 자국 통화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한 구체적인 조처를 하면서도 상당한 외환보유고를 유지하고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중국은 통화가치 절하를 통해 국제무역에서 불공정한 경쟁우위를 확보하려 한 것으로 판단했다”고 지정 이유를 설명했다.

이는 지난달 말 중국 상하이에서 재개된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진전이 없자 트럼프 대통령이 9월 1일부터 3,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고,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중단하는 등 미·중 무역갈등이 격화하는 국면에서 나온 조처였다.

다만 이날 므누신 장관은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권한으로 중국이 환율 조작국이라는 것을 오늘 결정했다”고 밝히며 이번 결정이 재무부 보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점을 시사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면 중국 측이 무역 협상에 복귀할 것이라는 판단하에 므누신 장관을 압박했다고 한 관계자는 밝혔다.

하지만 이런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은 성공적이지 못했고, 오히려 양국 간 갈등만 더 심화시켰다는 것이 WP의 분석이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