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30 역린(공정·정의) 건드린 조국...조직화되는 촛불

서울대생 인터넷설문 94%가

"후안무치, 후보자로 부적합"

서울대총학, 사퇴 첫 공식요구

내일 2차 촛불집회 주도키로

고대·부산대도 추가행동 계획

젊은층 중심 분노 점차 커져

서울대 총학생회 관계자가 26일 서울대 학생회관 게시판에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는 대자보를 붙이고 있다. /성형주기자서울대 총학생회 관계자가 26일 서울대 학생회관 게시판에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는 대자보를 붙이고 있다. /성형주기자



서울대 총학생회가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사퇴를 공식 요구했다. 조 후보자의 모교이자 교수로 재직한 서울대 총학이 공식 입장을 낸 것은 처음이다. 장관직 수행 적격성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비등함에도 조 후보자가 ‘검찰 개혁 완수’를 거듭 강조하며 정면 돌파에 나서기로 한 데 대해 ‘공정과 정의’에 민감한 2030세대의 반발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서울대는 28일 2차 촛불집회를 개최하기로 했고 고려대·부산대 총학에서도 대응 방식을 두고 논의에 들어갔다. 이들 대학 총학이 조직적으로 가세할 경우 조 후보자를 둘러싼 2030세대의 분노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대 총학은 26일 입장문을 통해 “(조 후보자 관련) 의혹들에 대해 ‘법적인 문제는 없다’고 말하며 후안무치의 태도로 일관하는 조국 교수가 법무부 장관이 돼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후보직 사퇴를 요구했다.


서울대 총학은 조 후보자 딸의 각종 특혜의혹으로 대학생들이 분노·허탈감을 느끼고 있는 점을 강조했다. 서울대 총학은 “고등학생의 신분으로 2주간의 인턴십에 참여해 논문에 제1저자로 등재된 것을 보고 밤낮없이 논문 작성을 위해 실험과 연구에 매진하는 학생들이 분노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두 번의 유급에도 불구하고 조 후보자의 딸에게 수천만원의 장학금이 돌아간 것을 보고 청년들이 허탈감을 느끼는 것 또한 당연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의와 공정을 말하던 공직자의 모순된 모습에 배신감을 느끼는 국민의 목소리를 뒤로한 채 조 후보자는 의혹들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거부하고 있다”며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했다.

관련기사



서울대 총학은 이 같은 입장이 진영 논리에서 비롯된 게 아니라고 강조했다. 총학 관계자는 “후보자 사퇴를 요구하는 것은 서울대 학생사회가 ‘보수화’되고 ‘우경화’됐기 때문이 아니다”라며 “사회적 부조리와 비상식에 대한 학생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것은 총학의 당연한 책무”라고 주장했다. 특히 총학 측은 특정 정당과 정치 집단의 개입을 막기 위해 학생증과 졸업증명서 등을 통해 집회 참가자의 구성원 여부를 확인하기로 했다.

고려대 총학 역시 지난 23일 촛불집회를 개최한 집행부와 함께 이날 중앙운영위원회를 열고 조씨의 입시부정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데 전면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고려대 총학 측은 “(23일 열린 고려대 촛불집회의 핵심 가치들을) 고대 총학이 모두 수용해 집회를 공식적으로 이어받을 것”이라며 “집회·대자보·보도자료 등 그 형태는 추후 논의를 통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조씨가 재학 중인 부산대에서도 28일부터 이틀간 총학 주관하에 조 후보자 자녀 의혹 대응방식과 관련한 총투표를 실시한다. 이와 별도로 부산대 학생 100여명이 참여한 부산대 촛불추진위원회는 28일 대학 내에서 열린다.

2715A31 서울대생커뮤니티조국투표


조 후보자의 모교이자 직장인 서울대를 비롯해 조 후보자 딸의 부정입학·장학금 특혜 논란이 불거진 고려대·부산대를 중심으로 총학이 나서면서 조 후보자를 향한 2030세대의 분노가 점차 조직화되는 양상이다. 23일 열린 서울대·고려대의 촛불집회의 경우 졸업생과 재학생 등 일반 학생이 주최했음에도 두 대학을 합쳐 당초 예상을 뛰어넘는 1,000명이 참석할 정도로 큰 호응을 얻었다. 총학이 집회를 주도할 경우 집회 참석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현재 서울대 커뮤니티에서 진행 중인 ‘조 후보자의 장관 적합 여부’를 묻는 설문조사에서 이날 오후3시 기준 응답자의 94%가 ‘전혀 적합하지 않다’고 응답할 정도로 대학생을 중심으로 비판적 여론이 비등하다. 고려대 촛불집회를 개최했던 집행부의 한 관계자는 “그 당시에는 불법이 아니니 문제 될 것이 없다는 말을 들으면서 불공정함에 둔감한 사회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이대로 그냥 넘어간다면 후배들에게 불공정한 사회를 남긴다는 죄책감을 앉고 살아갈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지영·서종갑기자 jikim@sedaily.com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