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트럼프 "中서 진지하게 대화"...G2 무역난타전 실타래 풀까

금융시장 혼돈 수습 의도 불구

단시간내 극적 타결 쉽잖을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 “중국과 곧 무역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힌 것은 미중 무역전쟁의 확전을 방지하면서 국제 금융시장의 혼돈을 최대한 수습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하지만 미중 간 무역협상이 재개되더라도 단시간에 실질적인 진전이 이뤄지기는 쉽지 않아 무역전쟁이 극적으로 수습될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주요7개국(G7)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는 프랑스에서 “중국 관료들이 전화해 ‘협상 테이블로 돌아가겠다’고 했다”면서 미중 무역협상이 곧 시작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조만간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며 “중국과 매우 진지하게 대화를 시작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합의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미중은 앞서 추가 관세 폭탄 부과 계획을 발표하며 무역전쟁의 확전에 나서면서도 다음달 워싱턴DC에서의 무역협상은 예정대로 개최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이견을 좁히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하지만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협상 전망은 이전보다 밝아지게 됐다. 이는 미중이 지난주 말 사이 상대국에 대해 무역전쟁의 화력을 대폭 높인 것이 고리가 됐다는 분석이다.


먼저 협상 신호를 보낸 것은 중국이다. 무역전쟁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보이는 중국의 고위급협상 대표인 류허 부총리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앞서 “냉정한 태도로 협상과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를 원하며 무역전쟁이 격화되는 것을 결연히 반대한다”고 말했다고 신랑망은 전했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 역시 “중국이 공정하고 균형 잡힌 관계에 동의한다면 우리는 곧바로 협상에 서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CNBC방송이 전했다.

관련기사



미중 대표단이 협상을 재개하면 추가 관세 부과에 대한 연기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6월 말 휴전 상태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중국은 추가 관세 철회를 제안하면서 미국 측이 전격적으로 지정한 ‘환율조작국’ 딱지를 거둘 것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협상이 재개되더라도 얼마나 의미 있는 합의가 도출될지는 불투명하다. 미 경제 전문가들은 최근 환율조작국 지정과 이에 맞서 중국이 부과한 추가 관세,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23일 발표된 미국의 5%포인트 추가 관세 등이 조율될 가능성은 있지만 무역전쟁을 촉발한 중국의 지적재산권 침해나 기술 이전 강요 금지 등의 입법화 문제는 접점을 찾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23일(현지시간) 5,5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 전체에 대한 관세율을 5%가량 일제히 올리겠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이 750억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5%와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미국산 자동차에도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지 12시간 만에 나온 것이다. 6월 말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무역전쟁의 휴전을 선언했다 두 달이 안 돼 G2가 전면전을 벌이자 시장에서는 다음달 1일부터 확전이 본격화하면 경제적 타격이 한층 현실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부각됐다.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