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중산층 위한 임대 아파트 공급 늘릴 것"

■이헌욱 경기도시공사 사장

저소득층 위주로 설계된 규정

TFT 만들어 제도 정비에 착수

3기 신도시 조성 전체 사업권 중

50%는 경기도시공사가 맡아야




“‘임대주택=저소득층’이라는 패러다임을 확 바꾸고 싶습니다. 저소득층 뿐만 아니라 중산층도 집값 걱정 없이 임대주택을 분양받을 받아 생활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겠습니다.”

이헌욱(51·사진) 경기도시공사 사장은 26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한 현재의 임대아파트 분양조건을 과감하게 중산층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일반 분양 아파트와 같은 아파트를 지어 저렴하게 월세만 내면서 20년 이상 살 수 있다면 굳이 빚을 내서 집을 살 필요가 있겠는가”라며 “중산층이 좋아할 만한 임대아파트를 많이 개발해 이들의 주택담보대출 부담을 덜어주고 싶다”고 말했다. 이 사장은 “앞으로 국토부와 협의해 주택을 소유·투자개념으로 생각하는 기존 패러다임을 바꾸는 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실제 임대아파트는 통상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공급한다는 인식이 강하다 보니 중산층을 겨냥한 임대아파트는 별로 없는 게 현실이다. 또 이 사장이 추진하려는 중산층 임대아파트 사업을 벌이려면 저소득층 위주로 설계된 현재 임대주택 관련 규정을 정비해야 한다. 공사는 이를 위해 최근 ‘사회주택사업단(TFT)’을 만들어 제도 정비에 착수했다.

관련기사



이 사장은 아파트 후분양제도를 안착시키기 위한 작업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임대주택 확대와 후분양제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핵심 공약 가운데 하나다. 이 지사는 민선 7기 임기 동안 4만1,000호 임대주택 공급을 약속했고, 이 사장은 이 공약을 성실히 지켜나갈 방침이다. 이 사장은 “조만간 100% 후분양제 아파트를 공급할 계획”이라며 “100% 아파트 후분양제는 경기도가 처음 시도하는 것으로 사업의 향방에 따라 다른 시도로도 확대될 수 있는 만큼 모든 능력을 총 동원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 사장은 최근 부동산시장의 가장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3기 신도시 조성사업에서 경기도시공사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경기도 도민들의 주거안정을 강화하기 위해 신도시 전체 사업권 중 최소한 50% 이상을 공사가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 이 사장의 생각이다. 통상적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전체 사업의 20% 가량을 인정해줬다. 이 사장은 “LH는 국가사업을 하고, 경기도시공사는 지방사업을 하는 곳”이라며 “경기도 내 사업은 경기도시공사가 전적으로 맡아서 하면서 범위를 벗어나는 사업에 대해 협조를 구하는 방식이 지방분권의 기본정신”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최근 행정안전부가 공사채 발행 시 부채비율 제한을 애초 순자산 250%에서 300% 로 확대했다”며 “신도시 개발 참여 지분 확대를 위한 자금력도 이미 확보해 놓았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원활한 3기 신도시 사업 등을 위해 부족한 인력을 보강할 방침이다. 충분한 인력을 확보해 다양한 사업의 동력을 마련하겠다는 복안이다. 그는 “경기도는 서울보다 인구는 1.4배 많고 땅은 17배나 큰데도 조직은 서울SH공사의 3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며 “3기 신도시 조성을 비롯한 각종 사업이 산적한 만큼 임기 내에 현재 정원(512명)을 1,000명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