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만파식적] 한일경제인회의

2017년 서울에서 열린 한일경제인회의/연합뉴스2017년 서울에서 열린 한일경제인회의/연합뉴스



2011년 3월11일 일본 미야기현 오시카 반도 동남쪽 바다에서 규모 9.0의 강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1만5,000명 이상이 사망했고 2,500명이 넘는 사람이 실종됐다. 동일본 대지진으로 불리는 이 지진으로 일본 사회가 혼란과 충격에 빠지면서 당시 4월 14~15일 제주에서 개최될 예정이던 한일경제인회의는 5개월 뒤인 9월28일로 미뤄졌다.


한일경제인회의는 한일 양국 기업·단체의 최고경영자 등 300여 명이 모여 무역·투자·기술교류 등을 논의하는 민간중심 경제협력회의다. 한국의 경제4단체가 주축이 된 한일경제협회와 일본 측 일한경제협회가 개최하는 이 회의는 한일 국교 정상화 4년 뒤인 1969년 시작했다. 재계 대표 경제단체인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와 일본 경제단체연합회(게이단렌)가 1983년부터 정기적으로 여는 한일재계회의와 함께 대표적 한일 민간기업 협력회의로 꼽힌다.

관련기사



굴곡이 많은 한일관계 탓에 한일경제인회의도 적지 않은 진통을 겪었다. 4월 전후 열리던 한일경제인회의는 1991년 걸프전이 터지면서 하반기로 연기됐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2017년 5월 한국 대통령 선거 때도 5개월여 미뤄져 개최됐다. 독도 영유권과 일본의 역사 왜곡으로 시끄러웠던 2006년에는 이 문제를 놓고 전체회의에서 열띤 토론을 벌이기도 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침략 부정발언 등으로 들끓었던 2013년에는 양국 경제협력을 강화하자는 공동성명을 냈지만 일본 정치인들의 잇단 망언과 야스쿠니 신사참배 등으로 빛이 바래기도 했다.

올해의 경우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등으로 한일 간에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지만 한일경제인회의는 9월 24일부터 이틀간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다고 한다. 한일경제협회와 일한경제협회는 최근 한일경제인회의 개최일을 발표하면서 “양호한 경제관계 구축이 양국 발전과 이익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4월 예정이던 한일경제인회의 일정이 연기되기는 했지만 건너뛰지 않고 계속 열릴 수는 있게 됐다니 다행이다. 일본의 부당한 경제보복 행태에는 단호한 대응 의지를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지만 기업 간 협력과 같은 민간 외교 무대에서는 합리적이며 실리적인 태도가 우선이다. 양국관계의 파국을 막기 위한 실질적 진전의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홍병문 논설위원

홍병문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