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모비스 전기차 부품공장 기공...年10만대 규모 "미래車 국산화 핵심기지"

3,000억 투입...2021년부터 양산

전기차시장서도 규모의 경제 실현

文 "어려운 시기 경제에 큰 희망

국내 복귀 기업에 아낌없는 지지”




현대모비스가 3,000억원을 들여 울산에 전기자동차 전용 부품공장을 짓는다.

전기차·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에 맞춰 친환경차 부품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차원이다.


현대모비스는 28일 울산 이화산업단지에서 친환경차 핵심부품 울산공장 기공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송철호 울산시장, 박정국 현대모비스 사장 등이 참석했다.

울산공장은 총 부지 15만㎡(4만6,000평) 규모로 오는 2021년부터 연간 10만대분의 전기차 핵심부품을 양산하게 된다.


현대모비스는 특히 자율주행·전동화로 대표되는 미래차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대규모 시설투자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전동화 핵심부품 등 미래차 시장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향후 3년간 총 4조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며 지난해에는 수소사회 비전을 제시하면서 충주2공장 신축에 들어가기도 했다.

관련기사



안병기 현대모비스 전동화사업부장은 “현재 북미와 중국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전기차 시장에서 우리도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게 됐다”며 “전기차와 수소전기차가 함께 발전하는 궁극적인 방향으로 전동화 시장을 선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글로벌 친환경차(하이브리드·플러그인·전기차·연료전지차) 시장 규모는 올해 597만대에서 2025년 2,000만대로 세 배 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중 순수 전기차는 절반에 가까운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기공식에 참석한 문 대통령은 “현대모비스가 대기업으로는 처음으로 해외사업장을 국내로 복귀시켜 울산으로 이전하고 5개의 자동차 부품기업도 함께 돌아온다”며 “우리 경제의 활력을 살리고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 수 있어 매우 반가운 소식”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어려운 시기에 유망한 기업들의 국내 유턴은 우리 경제에 희망을 준다”며 “앞으로도 정부는 국내 복귀를 위해 투자하는 기업들에 아낌없는 지지와 응원을 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현대모비스의 이번 울산공장 투자는 해외 자동차 부품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국내로 복귀한 유턴투자로 지난 2013년 12월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후 대기업 최초의 유턴 사례라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대모비스의 이번 투자가 국내 대기업의 유턴 사례라는 문 대통령의 언급을 두고 업계에서는 논란이 일고 있다. 현대모비스 신공장이 정부의 유턴기업 지원 기준을 충족하기는 하지만 애초 해외 생산 자체가 불가능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짓는 공장인 만큼 유턴으로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국내로 유턴하는 기업을 늘리기 위해 기존 해외사업장의 생산량을 50% 축소해야 유턴기업으로 인정하던 기준을 25% 감축으로 완화했다. 현대모비스 신공장은 현대차가 내년에 울산공장에서 선보일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차량에 핵심 부품을 공급하는 역할을 맡는다. 현대모비스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지금까지 충주공장에서 생산한 핵심부품을 현대차 울산공장으로 운송했지만 신공장은 현대차 완성차 공장과 거리가 15㎞에 불과해 앞으로 공급망 운영시스템의 효율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국내 기업이 해외에서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의 생산을 줄이거나 접고 국내로 돌아와야 진정한 유턴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내 공급처 인근에 지을 수밖에 없는 공장 건설을 유턴 투자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재용·윤홍우기자 jylee@sedaily.com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