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가습기 살균제 최다 판매한 옥시 "정부의 감독 부재 탓"

28일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2019 가습기살균제참사 진상규명 청문회에 이치우(왼쪽부터) 전 LG생활건강 생활용품 사업부 개발팀 직원, 박헌영 LG 생활건강 대외협력부문 상무, 박동석 옥시 PB대표이사, 곽창언 옥시 PB 대외협력전무가 증인으로 나와 앉아 있다./연합뉴스28일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2019 가습기살균제참사 진상규명 청문회에 이치우(왼쪽부터) 전 LG생활건강 생활용품 사업부 개발팀 직원, 박헌영 LG 생활건강 대외협력부문 상무, 박동석 옥시 PB대표이사, 곽창언 옥시 PB 대외협력전무가 증인으로 나와 앉아 있다./연합뉴스



가습기살균제로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낳은 옥시레킷벤키저(옥시RB)가 피해자에게 사과를 하면서도 정부의 미흡한 관리·감독을 탓했다.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질병 장애에 대한 치료비에 건강보험 적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8일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이하 ‘특조위’)가 주최하는 가습기 살균제 참사 진상규명 청문회가 열렸다.

청문회에 참석한 박동석 옥시RB 대표는 “2016년 회사가 책임을 인정한 이래 많은 피해자분들을 만났고 정말 있어서는 안 될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어떻게 해서 발생하게 됐는지, 어떻게 이런 지경에까지 이르게 됐는지 살펴봤다”며 “처음 제품이 출시됐을 때 정부 기관에서 보다 안전한 기준을 만들고 철저한 관리 감독을 했다면 과연 오늘날과 같은 참사가 일어날 수 있었을까 싶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늦게라도 정부기관이나 가습기살균제를 최초 개발해 원료물질공급에 책임이 있는 SK케미칼이 진정성 있게 공동 배상을 위해 노력했다면 피해자가 겪는 고통은 현저히 줄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향후 보상 및 대책과 관련해서는 “피해 인정 기준과 관련해 정부가 주도하되 인정 기준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며 “치료비를 고민하는 피해자들이 많은 데 건강보험으로 처리하는 방안을 정부에서 강구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특조위에 따르면 가습기 살균제 998만여개 중 옥시 제품이 5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옥시는 그간 1~2단계 피해자에게 총 2,300여억원 을 배상했다.

청문회장을 찾은 한 피해자 가족은 “며칠 전 저녁 시간에 TV에서 옥시 광고를 봤다”며 “시간이 흘러 광고를 내보내는 회사의 정신이 온전한지 한심하다”고 비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