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임신 지원 서비스, 한번에 신청하세요"

내년 4월 '원스톱 서비스' 시범 실시…2021년 전국 시행 목표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여러 정부 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임신지원 서비스를 한 번에 안내받아 신청할 수 있는 ‘임신지원 원스톱 서비스’가 본격 추진된다.

29일 행정안전부는 이러한 내용의 ‘임신지원 서비스 통합제공 추진계획’을 마련해 내일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그간 임신부들이 임신 진단 후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기가 까다롭다는 지적을 반영한 것이다. 현재 엽산·철분제 지원 등 전국 공통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만 14종에 이르고 산모교실 등 지자체별로 제공하는 것도 여럿 있지만 내용을 알아보려면 관련 기관에 일일이 문의해야 한다. 신청 역시 각 기관을 직접 찾아가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행정연구원이 올해 3월 임신을 준비 중이거나 임신·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 3,17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정부지원 서비스 이용 시 불편한 점으로 ‘어떤 서비스가 있는지 모른다’(36.8%)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임신 진단부터 출산까지 중앙부처와 거주지 관할 지자체에서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문자메시지나 정부 서비스 포털 ‘정부24’ 애플리케이션 푸시 알림을 통해 주기별로 안내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서비스 신청도 온라인은 정부24를 통해, 오프라인은 주민센터에서 통합 신청서 하나만 작성해도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할 예정이다. 엽산·철분제 등 물품을 지원받거나 난임부부 지원결정통지서를 발급받을 때 불편사항도 줄인다. 현재는 매번 보건소를 방문해야 하지만 앞으로는 필요한 물품이 있을 경우 지원대상자 본인 부담 하에 택배로 발송하고, 증명서는 정부24에서 온라인으로 발급받아 출력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임신지원 원스톱 서비스’를 내년 4월부터 지자체 5곳가량에서 시범 실시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해 2021년 1월을 기점으로 전국적으로 시행한다.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은 시범사업 없이 내년 4월부터 전국에서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제공한다. 지난달부터 지원 횟수가 확대되고 연령 기준이 폐지된 만큼 더 많은 부부가 이용할 수 있게 하려는 조치다.

임신지원 원스톱 서비스는 출산(행복출산)과 사망(안심상속)에 이어 세 번째로 도입되는 생애주기별 원스톱 서비스다. 행안부는 내달 18일까지 정부24 블로그와 광화문1번가 홈페이지를 통해 임신지원 원스톱 서비스 이름을 공모하고, 의견을 수렴해 서비스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칭을 정할 계획이다.
/정민수 인턴기자 minsoojeong@sedaily.com

정민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