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기자의 눈]국내관광 진흥 ‘장관 쇼’만으론 안 된다

나윤석 문화레저부




호텔·펜션 등 숙박업소들의 민간 협회인 한국관광협회중앙회가 지난 22일 강원도 강릉에서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한 긴급회의’를 열었다. 중앙회는 이날 회의에서 휴가철 바가지요금에 대한 시민들의 비판을 의식한 듯 ‘투명하고 합리적인 가격 책정을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회의 개최 사실과 결의문을 담은 보도자료는 중앙회가 아닌 문화체육관광부가 배포했다. 궁금해서 중앙회에 물어보니 예정에 없던 긴급회의 자체가 문체부의 독려로 이뤄진 것이라고 했다.


요즘 문체부는 국내 관광을 띄우기 위한 노력을 한창 기울이고 있다. 한일갈등 속에 국내로 전환되는 움직임을 보이는 해외여행 수요를 반드시 낚아채야 한다는 절박한 의지의 표출이다. 중앙회의 긴급회의에 앞서 지난 10일에는 박양우 문체부 장관이 전남 담양군 소쇄원을 찾기도 했다. 박 장관은 담양군의 대표 관광지인 이곳에서 조선 시대 선비들처럼 갓을 쓴 채 ‘소쇄 처사’로 변신한 모습을 연출했다.

관련기사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이런 노력은 충분히 이해가 간다. 나날이 확대되는 관광수지 적자 폭을 이번 기회에 대폭 줄이지 못하면 한국경제에 효자 노릇을 하는 관광대국의 꿈은 영원히 멀어질 수밖에 없다. 문제는 정부의 최근 행보가 보여주기식(式) 이벤트에 집착하고 있다는 느낌이라는 점이다. 숙박업소는 공중위생관리법, 음식점은 식품위생법에 따라 자율요금제로 운영된다. 바가지요금은 휴가철만 되면 특정 지역에 피서객들이 몰리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다. 업계의 자정 노력은 필요하겠으나 정해진 법률과 수요·공급 원리에 따라 이뤄지는 것이기에 정부가 나서서 단속하기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결국 해법은 콘텐츠 개발에 있다. 관광대국으로 성장한 일본에는 다카야마처럼 연간 관광객이 수백만명에 달하는 시골 마을이 즐비하다. 이런 사례 연구를 통한 관광지 다변화가 선행돼야 국내 여행도 활성화될 수 있다. 하나마나 한 소리뿐인 결의문을 내고, 장관이 갓 쓰고 돌아다니는 것만으로는 안 된다. 한일갈등이라는 악재를 역이용할 기회를 허무하게 날릴까 봐 하는 소리다. /nagija@sedaily.com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