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학벌 중시 인식 바꿔야 기술·기능인 존경받죠"

'직업능력의 달'...동탑산업훈장 받은 황의빈 혁성실업 대표

"中企에 중요한 자산은 사람

사내 기능 인력 양성에 투자"

철탑산업훈장 이량훈 두산중 과장

석탑산업훈장엔 배상훈 대표

황의빈 대표황의빈 대표




이량훈 과장이량훈 과장


배상훈 대표배상훈 대표


“기술·기능인들이 존경받는 사회가 되려면 학벌부터 따지는 우리의 인식을 바꿔야 합니다.”

포스코 협력업체인 혁성실업을 이끄는 황의빈(84) 대표는 항상 “중소기업의 가장 중요하고 소중한 자산은 사람”이라고 말한다. 30년 전 광양제철소 협력회사를 창립한 후 회사경영의 부침을 겪으면서 기술인력의 소중함을 절실히 느꼈기 때문이다. 황 대표는 사내 기능인력 양성을 위해 특수용접기를 갖춘 실습장을 설치하는 등 기술인력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이 같은 공적으로 황 대표는 2일 동탑산업훈장을 받았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이날 ‘2019 직업능력의 달 기념식’을 서울 구로구 쉐라톤서울디큐브시티호텔에서 열었다. 기념식에서 직업능력 개발과 숙련기술 장려에 힘쓴 유공자에게 훈·포장이 수여되고 대한민국 명장, 우수 숙련기술자 등 20명에 대한 증서도 전달됐다.

관련기사



“훈장을 받게 된 영광을 혁성 가족 모두와 나누고 싶다”고 수상소감을 밝힌 황 대표는 엔지니어 출신은 아니다. 그러나 “사무실에서 현장을 ‘관리’하는 게 아니라 ‘지원’하는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는 평소 지론처럼 엔지니어 지원에 온 힘을 쏟았다. 그는 직무급제를 도입하고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퇴직한 고령노동자 재고용 등으로 기능인을 우대했다. 기능자격 취득자 축하금(20만원)과 자격수당으로 최대 8만원을 지급하는 등 자격증 취득을 독려했다. 결과적으로 현장직원 10명 중 7명이 자격증 보유자가 됐다. 황 대표는 “우리 같은 중소기업이 어렵게 투자해 기술·기능인을 길러내는 것이 녹록지 않다. 직원 한 명 한 명이 전장과 같은 치열한 작업현장에서 전위 부대원 같은 사명감과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며 “중소기업 인력들이 안정적으로 장기근무할 수 있도록 세밀한 지원정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시아 최초로 3㎿급 육·해상 풍력발전기를 개발한 이량훈(43) 두산중공업 기술과장은 철탑산업훈장을 차지했다. 원자력·화력 발전기의 주요 부품인 원자력 증기발생기 일체형 헤드 등의 국산화에 앞장섰다. 국내 최초로 아랍에미리트(UAE)에서 1,450㎿ 규모의 바라카 원전을 수주하는 데도 공헌했다.

화약 취급·발파 분야의 우수 숙련기술자로 석탑산업훈장을 수상한 배상훈(62) 에스에이치엠앤씨 대표는 국내 최초로 전자뇌관과 전자발파기를 도입하고 연주식 발파 등 발파 공해를 낮추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진동과 소음·비산먼지 발생을 줄이면서도 방호 매트 방어효율을 50% 이상 증가시켜 민원 등으로 인한 작업의 어려움을 극복했다. 그는 “기술은 현재 상태를 바꿀 수 있는 가장 큰 힘”이라고 말했다.

이날 황성일 기아자동차 부산서비스센터 기술선임, 서중율 코어넷 전무, 전형배 연세직업전문학교 대표, 최영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사 등 4명에게 산업포장이 수여됐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