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통계청 "한국, 2045년 노인비중 세계 최고될 것" 전망 밝혀

우리나라 고령인구비중 2045년엔 세계에서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





세계와 한국의 고령인구 구성비 추이(출처 : 통계청)세계와 한국의 고령인구 구성비 추이(출처 : 통계청)


통계청은 우리나라가 2045년에는 “세계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세계화 한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비중은 2045년엔 37.0%로 일본(36.7%)을 넘어선다. 이는 유엔의 201개국에 대한 세계인구전망과 통계청의 2017∼2067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로 한국의 고령인구 비중은 2019년 14.9%에서 2067년 46.5%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커질 예정이다.


한국과 같이 2067년까지 고령인구가 계속 증가하는 국가는 전 세계 201개국 중 146개(72.6%)에 달한다. 반면 세계 인구 중 고령인구의 비중은 평균 2019년 9.1%에서 2067년 18.6%까지 늘어나는 데 그친다.

우리나라의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12년 73.4%를 정점으로 계속 감소해 2019년에는 72.7%로, 2067년에는 45.4%까지 떨어진다. 전 세계 생산연령인구가 2019년 65.3%에서 2067년 61.7%로 감소하는 데 그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늘어나는 고령인구와 대조적으로 생산연령인구는 감소하면서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할 유소년·고령인구를 뜻하는 총부양비는 2019년 37.6명에서 2067년 120.2명으로 치솟아 세계 최고로 올라설 전망이다.



특히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할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19년 20.4명에서 2067년 102.4명으로 5배로 급증하게 된다. 한국의 노년부양비는 100명을 넘어서면서 역시 전세계 최고로 치솟을 전망이다. 같은 기간 세계의 총부양비는 2019년 53.2명에서 2067명 62.0명으로 증가하는 데 그친다. 노년부양비는 2019년 14.0명에서 2067년 30.2명으로 증가한다.

총인구를 연령순서로 나열할 때 중앙에 있게 되는 사람의 연령을 뜻하는 중위연령은 우리나라가 2020년 43.7세에서 2065년 62.2세로 치솟는다.

세계 인구의 중위연령은 2020년 30.9세에서 2065년 38.2세로 상승한다. 한국의 중위연령은 내년까지는 유럽(42.5세)보다 1.2세 높은 수준이지만, 2065년에는 유럽(47.6세)보다 14.6세 높아지게 된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2045년에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서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가 된다”며 “현재 수준이 높은 편이 아닌데 단시간에 고령인구가 급증하기 때문에 고령화 속도는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창호인턴기자 ch1105@sedaily.com

이창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