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A형 간염 유행종료"…조개젓에 간염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8월26일 이후 관련 확진자 없어

A형 간염 사실상 ‘유행종료’ 단계

조개젓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조개젓 섭취, A형 간염발병 통계적 관련성 확보

부산시는 동일한 식당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집단 발생했던 A형 간염의 원인이 조개젓이라는 결과를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아울러 지난달 26일 이후 관련 확진자가 없어 A형 간염이 사실상 ‘유행종료’ 단계에 접어들었다고도 했다.

부산시는 지난달 31일까지 9개 카드사에서 1,347건의 결제내역을 확보해 감염병관리지원단 및 구·군 보건소와 합동조사를 벌인 결과, 3,330명이 음식점을 방문한 것으로 확인했다. 이 중 2,537명에 대해 증상유무·음식점방문일·식품섭취력·직업·간염 항체 및 유전자증폭검사 등 조사를 시행했으며 조사가 완결된 996명을 통계 분석했다. 그 결과 조개젓의 섭취 여부에 따른 발병 비교위험도(Odds ratio)가 114.60(신뢰구간 95%의 하한 15.91 상한 825.74)으로 조개젓이 감염원인임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근거를 확보했다. 앞서 부산시는 질병관리본부 중앙역학조사반과 함께 심층 분석에 나서지난달 28일 미개봉 조개젓에서 A형 간염바이러스(IA형)를 검출한 데 이어 음식점 주인이 개인섭취용으로 별도 보관 중이던 조개젓에서도 바이러스(IA형)를 검출한 바 있다.


이번 A형 간염 집단 유행은 지난달 31일을 기준으로 총 161명의 확진자(타시도 5명 포함)와 20명의 병원체 보유자가 발생했다. 확진자의 연령은 15세부터 52세까지로 주로 20~40대에 분포하고 있었다. 확진자들이 해당 음식점을 방문한 시기는 6월 4일부터 7월 13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부산시는 확진자 중 가장 마지막으로 식당을 방문한 7월 13일을 기준으로 최대 잠복기인 50일 되는 시점(9월 1일)이 지난 현재, 조개젓 섭취로 인한 추가환자가 발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고 있다.

관련기사



부산시는 A형 간염이 유행하자 재난관리기금 1억 원을 긴급 편성해 해당 음식점 노출자와 확진자, 확진자의 접촉자에 대한 무료 A형 간염 검사 2,149건과 무료 예방접종 999건을 시행하는 등 적극적인 조치를 펼쳐왔다. 현재까지 파악된 2차 감염자는 1명이며 추가발생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시는 선제적 조치로 인해 2차 감염자가 소수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8월 31일) 기준으로 올해 전국의 A형 간염환자는 1만3,466명(10만 명당 25.99명)이며 부산시의 감염환자는 401명(10만 명당 11.60명)에 그친다.

부산시는 이번 A형 간염 집단발병의 원인이 조개젓임을 명확하게 밝혀낸 만큼 적극적인 후속조치를 통해 전국적으로 유행 중인 A형 간염을 조기에 종식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에 조개젓과 관련해 발생한 집단 발병은 종료수순에 들어가지만 A형 간염은 여전히 전국적으로 유행 중”이라며 “특히 수도권을 비롯한 다른 지역과의 교류가 활발한 만큼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어 “20~40대 시민들께서는 가까운 보건소에서 A형 간염 예방 접종할 것을 권유한다”고 덧붙였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