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5G 로봇이 화재 진압"...KT 망관리 혁신

차세대 통신망 운용시스템 발표

AI가 맨홀 침수 등 정확한 감지도

황창규 "통신구 화재 재발 없다"

: KT 황창규 회장이 임직원들과 함께 OSP 이노베이션센터에 위치한 통신구 시험장에 설치된 5G 레일형 로봇(사파이어)를 살펴보고 있다.: KT 황창규 회장이 임직원들과 함께 OSP 이노베이션센터에 위치한 통신구 시험장에 설치된 5G 레일형 로봇(사파이어)를 살펴보고 있다.




KT 네트워크부문 직원들이 통신구에 설치된 지상형 5G 로봇을 점검하고 있다./사진제공=KTKT 네트워크부문 직원들이 통신구에 설치된 지상형 5G 로봇을 점검하고 있다./사진제공=KT




4일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 KT(030200) ‘외부통신시설(OSP) 이노베이션센터’. 광케이블 등이 지나가는 지하 통신구 한 곳에서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이 감지되자 5세대(5G) 기반 로봇 ‘사파이어’가 출동해 에어로졸 소화기로 진화에 나섰다. 관제실에서는 로봇이 보내 온 현장 상황과 주요 지점의 열화상 화면을 보며 차분하고 빠르게 대응해 금세 상황이 종료됐다. 많은 비가 내려 맨홀이 침수되자 이번에는 고감도 센서가 수위를 파악해 경고음을 울렸다. 자율주행 기반 로봇 ‘빙수’는 스스로 맨홀 뚜껑을 연 뒤 양수기를 돌려 고인 물을 빼냈다.

KT는 이날 5G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단계 진화한 통신 인프라 운용 시스템을 선보였다. 통신구 안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술(CTTRS)은 별도 전원 없이 최소 0.5m 간격으로 온도상승 지점을 0.1도 단위까지 정확하게 파악한다. 또 AI 기반의 분포형 음파계측 방식을 적용한 침수 감지 기술은 맨홀 내 최대 40㎞ 구간의 침수 상태를 1m 단위의 정확도로 알아낸다. 정밀한 센서로 문제를 파악한 다음에는 로봇이 해결사로 나선다. 5G 기반 풀HD급 고화질 영상을 전송하고 화재 진압 기능까지 갖춘 ‘사파이어’는 통신구에 불이 났을 때 유독가스 때문에 사람이 들어가기 어려운 여건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360도 카메라와 유해가스 센서를 갖춘 ‘빙수’도 맨홀 작업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T는 원격으로 통신주의 기울임을 알아채는 감지 기술(PTRS)도 공개했다. 5m 이상의 높이로 설치되는 통신주는 외부 충격이나 날씨 등에 따라 균형을 잃을 수 있는데 이를 빠르게 인지해 조치할 수 있다.


KT가 운용·관리하는 전국의 OSP는 통신구 230개(286㎞), 통신주 464만개, 맨홀 79만개에 이른다. 유선망이 완벽해야 원활한 5G 네트워크 환경을 담보할 수 있는 만큼 KT는 지난 5월 네트워크부문에 ‘인프라운용혁신실’을 신설, 통신 인프라 시설을 대대적으로 점검하고 개선활동에 나섰다. 지난 7월부터는 융합기술원 산하 ‘KT OSP 이노베이션센터’에서 5G·AI 기반 로봇으로 통신구와 맨홀 등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관련기사



KT는 설계·운용·관제·장애복구 분야의 노하우를 집약한 차세대 OSP 관리시스템 ‘아타카마’도 개발해 상용화했다. 광케이블망 설계 작업을 기존 100분에서 5분으로 대폭 줄이고, 선로 개통 과정도 약 50분에서 10분으로 단축했다.

지난해 서울 아현국사 통신구 화재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한 KT는 이번 인프라 운용 혁신 시스템을 기반 삼아 안전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황창규 KT 회장은 “잠깐 방심과 자만이 아현국사 통신구 화재라는 큰 상처를 낳았는데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사과 말씀을 드린다”며 “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기 위해 모든 역량과 기술력을 결집해 네트워크 인프라 혁신에 집중했다”고 강조했다.
/대전=임진혁기자 liberal@sedaily.com

KT의 지상형 5G 로봇이 비정상적으로 온도가 상승한 통신구로 출동해 에어로졸 소화기로 소화분말을 분사하고 있다./사진제공=KTKT의 지상형 5G 로봇이 비정상적으로 온도가 상승한 통신구로 출동해 에어로졸 소화기로 소화분말을 분사하고 있다./사진제공=KT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