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머니+] 인사담당자 절반 "능력보다 인성…'바른 신입' 찾죠"

■ 가장 뽑고 싶은 신입사원 유형은

직무경험 많은 '전문가형' 뒤이어

'예의 없는 면접 지각생' 가장 꺼려




하반기 정기공채 시즌이 시작된 가운데 기업들은 태도가 좋고 예의 바른 신입사원을 가장 뽑고 싶어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취업포털 사람인은 기업 인사담당자 3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가장 뽑고 싶은 신입사원 유형으로 50.3%가 태도가 좋고 예의가 바른 유형을 꼽았다고 15일 밝혔다. 그 외 직무 경험과 지식이 많은 유형, 문제해결력이 뛰어나고 스마트한 유형을 선호한다는 응답도 각각 15.9%, 11.8%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였다. 나머지 응답으로는 △직장이나 사회경험이 풍부한 사람(5.4%) △입사 의지가 강한 유형(4.9%) △열정과 패기가 넘치는 유형(4.1%) △침착하고 안정감이 있는 유형(3.6%) △창의적이고 아이디어가 많은 유형(3.3%) 등 순이었다.


해당 유형의 지원자를 뽑고 싶었던 이유로는 ‘빨리 적응하고 성장할 것 같아서’라는 응답이 4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그 외 ‘팀워크가 좋고 조직을 결속시킬 것 같아서’(29%), ‘업무능력이 뛰어날 것 같아서’(23.3%), ‘장기 근속할 것 같아서’(20.8%), ‘미래 핵심인재로 기여할 것 같아서’(9%) 등을 고른 사람도 있었다.

관련기사



반면 가장 뽑기 싫은 지원자 유형은 태도가 불손하고 예의 없는 유형이 38.7%로 제일 많았다. 그 외 인사담당자들이 지적한 비선호 지원자 유형은 △면접 지각 등 기본이 안 된 유형(18.7%) △회사·직무 이해도가 낮은 유형(16.9%) △너무 개인주의적인 유형(11.8%) △자격 조건도 못 갖춘 유형(5.6%) △자신감 없고 소극적인 유형(5.1%) 등이었다. 뽑기 싫었던 이유로는 43.3%가 ‘조직을 와해시킬 것 같아서’(복수응답)라고 답했다. ‘적응을 못하고 성장하지 못할 것 같아서’(35.4%), ‘업무능력이 떨어질 것 같아서’(25.6%), ‘금방 관둘 것 같아서’(21.8%) 등이 뒤를 이었다.

신입사원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소로는 60.3%가 ‘인성 및 태도’라고 답했다. 이밖에 ‘회사 및 직무에 대한 이해도’(12.6%), ‘입사 의지와 열정’(6.4%), ‘인턴 등 실무경험’(5.9%), ‘전공 지식 및 자격증’(4.6%), ‘호기심과 문제해결 능력’(4.4%) 등이 있었다. 뽑고 싶은 지원자가 상반기 채용 과정에서 많았는지와 관련, 신입사원을 뽑은 242개사의 경우 뽑고 싶었던 지원자의 비율은 평균 25.4%로 낮은 편이었다. 예년과 비교했을 때 뽑고 싶었던 지원자가 많았는지를 묻는 질문에도 ‘적었다’는 응답이 45%로 ‘많았다’(14.9%)는 답변보다 훨씬 높았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