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우리 부모님도 혹시 난청? 보청기 조기 착용의 중요성







직장인 A씨는 이번 추석 연휴를 맞아 부모님을 모시고 가족 여행을 다녀왔다. 오랜만에 여행하면서 긴 시간 같이 대화하다 보니 어머님이 자꾸 되묻고, 엉뚱한 대답을 해서 대화할 때마다 소리를 지르다 보니 짜증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다. 즐거워야 할 여행이 서로 간에 제대로 된 의사소통이 안 되다 보니 본의 아니게 상처를 주게 되었다.

난청은 갑자기 들리지 않는 돌발성 난청, 태어날 때부터 발생하는 선천성 난청도 있지만 서서히 진행되는 노인성 난청이 대부분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노인성 난청의 인구 비율은 65-75세는 25-40%, 75세 이상은 38-70%에 이르러 국내에서만 170만명 이상의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노인성 난청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점차 진행되기 때문에 쉽게 알아채기 어렵다. 사람들과 대화할 때 대화를 이해하기 위해 귀를 기울여야 한다거나 상대방의 말을 알아듣지 못해 되묻는 증상이 잦아졌다면 노인성 난청을 의심해야 한다.


한번 떨어진 청력은 회복되기 어렵고, 지속적으로 저하되어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때문에 타인과의 대화가 점점 줄어들며 자신감이 떨어지고 심하면 우울증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청각을 담당하는 뇌 부위에 소리 자극이 감소하여 인지와 기억력에도 영향을 끼쳐 치매에 걸릴 가능성 또한 높아진다. 미국의 존스홉킨스 의대와 국립노화연구소의 연구 보고에 따르면 정상청력에 비해 경도 난청의 경우 1.89배, 고도 난청의 경우 4.96배 치매 위험이 높다고 한다.

관련기사



이는 난청이 단순히 듣기의 문제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청력에 이상이 있다고 느껴지면 빠른 시일 내에 난청 여부를 확인한 후 보청기 전문 센터를 방문하여 보청기 착용으로 재활을 시작해야 한다.

황혜경보청기 청각언어센터 황혜경 대표원장은 “난청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 적절한 보청기 착용시기를 놓치는 사람들이 많다”며, “무엇보다 조기 보청기 재활은 착용 만족도를 향상시킨다”며 조기 착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황혜경보청기 청각언어센터는 청각학 석박사로 이루어진 청각 전문가 그룹으로 난청 정도와 연령에 맞는 보청기 적응 프로그램과 사후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특히 올해는 창립 15주년으로 보청기를 부담 없는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특별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벤트는 9월 30일까지 진행한다. 현재 서초방배, 마포공덕, 송파잠실 프리미엄 직영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어느 곳으로 방문해도 동일한 청능재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