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시론] 美 두번 금리인하가 말하는 것들

김진일 고려대 교수·경제학

미중 무역전쟁·英브렉시트 등

진행중인 위험 대비 보험 차원

과거 자주 학습됐던 상황 아냐

선진국 변화에 韓 민감 대응을

김진일 교수김진일 교수



6월 말 서울경제에 기고한 칼럼 ‘美 통화정책, 불확실성의 귀환?’에서도 언급했듯이 미국의 기준이자율을 동결하기로 결정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17명 참가자 중에서 거의 절반인 8명이 연말까지 이자율을 동결할 것을 전망했고 나머지 대다수인 7명은 연말까지 두 번의 인하가 있을 것을 예상했다. 이후 3·4분기에 있었던 두 번의 FOMC 모임에서 연속적으로 이자율을 25bp(0.25%포인트)씩 내렸으니 걱정했던 불확실성이 일정 부분 현실화했다고 볼 수 있겠다.


7월 31일(현지시간) 발표된 이자율 인하 결정에 대해 10명의 투표권자 중에서 8명은 찬성했으나 2명은 동결을 주장하며 반대표를 던졌다. 당일 열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에서 나왔듯이, 금리 인하의 이유는 미국 경기의 하락이라기보다는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하는 ‘보험적 성격’이었음이 명백해졌다. 또한 금리 인하가 이후에도 여러 번 연속적으로 이뤄지지는 않고 한두 번에 그칠 수도 있다는 측면에서 ‘중기 사이클 조정(mid-cycle adjustment)’이라고 불러서 시장에 혼란을 가져왔었다.

관련기사



18일 발표된 9월 FOMC의 이자율 인하 결정은 두 가지 측면에서 특이하다고 하겠다. 우선 연준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금리 인하를 10년여 만에, 그것도 두 번 연속적으로 단행했다는 점이다. 또한 10명의 투표권자 중에서 7명이 25bp 인하에 표를 던진 데 반해 3명은 반대표를 행사했다. 6월의 동결 결정에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표를 던졌던 비둘기파 1명은 50bp 인하를 주장했으며 25bp 인하를 결정했던 7월 모임에서 금융안정을 내세우며 동결을 주장했던 2명의 매파는 지난주 또다시 동결을 주장하며 반대표를 행사했다.

6월과 마찬가지로 9월에도, 투표권이 있는 10명의 투표결과보다 더 불확실성이 극심하게 표현된 부분은 FOMC 참가자들 17명의 의견이 모두 포함된 경제전망요약(SEP)이었다. 연말이 다가올수록 투표결과에 비해 경제전망요약이 더욱 중요해지는데 그 이유는 연말에 해가 바뀌면 4명의 지역연준 총재가 돌아가면서 새로 투표권을 가져서다.

통계학에서 평균(mean)의 개념을 매우 중시하고 경제전망요약을 평가하면서 중앙값(median)에 언론이 집중하는 것은 아마도 일상생활에서 맞닥뜨리는 대부분의 통계분포에서 양 끝보다는 중간 부분이 더 두껍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올해 말에 기준이자율 수준이 어디에 있을 것일지를 전망하라는 질문에 대해 17명의 참가자 중에서 5명이 현재 수준을 고른 데 반해 같은 숫자인 5명이 이자율 상승을 전망했고 오히려 가장 많은 7명의 참가자는 이자율 인하가 적절하다고 봤다. 흔히 관찰되지 않는 이러한 불확실성의 근원은 무엇이고 이러한 불확실성이 우리에게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 지난주 파월 의장이 기자회견에서도 밝혔듯이 이번 금리 인하는 “진행 중인 위험에 대한 보험”의 성격이 강하다.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위험’이란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 그리고 브렉시트 등 유럽경제의 문제를 뜻한다는 것은 금융시장과 언론에서 의견 일치를 보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위험이 과거에 여러 번 일어난 현상이 아니며 따라서 우리가 과거 경험에 의존할 수 없다는 점이다. 파월 의장도 7월 기자회견에서 “연준이 글로벌 무역분쟁에 대한 대응경험이 많지 않아 현실을 겪어 나가면서 배워야 한다”고 토로 또는 고백을 했는데 선진국의 이자율 변화에 민감한 우리나라를 비롯한 소규모 개방경제는 이러한 학습에 뒤떨어져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