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정부-기업 손잡고 구리 확보 나선다

전자부품 등 다방면 활용 전략물자

비상사태 대비 안정적 조달 추진

조달청, LS니꼬동 등 MOU 제안

2315A13 구리확보수정



정부가 민간기업과 손잡고 전략물자인 ‘구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추진한다. 정부는 그간 비축물자로 지정된 자원을 관리해왔으나 민간기업과 협업해 구리 확보에 나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비상사태에 대비해 산업적으로 쓰임새가 많은 중요 자원인 구리 확보에 나서는 것으로 풀이된다. 구리는 반도체부품·자동차·휴대폰·컴퓨터 등 통신 및 전자부품, 전선 및 통신용 케이블 등 여러 산업에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 전기자동차 등 미래 먹거리에도 필수로 들어가는 중요한 자원으로 꼽힌다.

22일 산업계에 따르면 조달청은 최근 전략물자인 구리 확보를 위해 LS(006260)니꼬동제련·고려아연 등 민간기업들에 업무협약(MOU)을 제안했다. 조달청은 조만간 이들 기업 중 한 곳과 MOU를 체결하고 비상 시 안정적으로 구리를 조달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민간기업과 MOU를 체결해 서로 필요할 때 가져다 쓸 수 있게 하는 개념”이라며 “규모는 최소 1만톤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구리·아연·알루미늄 등 비철금속 6종과 리튬·코발트 등 희소금속 9종을 전략물자인 비축물자로 지정해 두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비축물자로 지정된 자원은 공개 입찰을 통해 업체를 선정한다”며 “구리의 경우 생산 업체가 LS니꼬동제련과 고려아연 두 곳이다 보니 두 회사에 직접 제안을 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연간 구리 수요는 약 90만톤이며 이 중 65만톤을 LS니꼬동제련이, 4만톤을 고려아연에서 생산하고 있다. 나머지는 대부분 칠레에서 수입하고 있다.


정부가 구리 확보에 나서는 것은 한국의 주력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기 때문이다. 구리는 자동차·휴대폰·컴퓨터·전선 등 전기가 필요한 곳이라면 다방면으로 사용된다. 특히 최근 구리의 가치는 더 높아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 먹거리 중 하나인 전기자동차를 위한 주요 재료로 쓰이기 때문이다. 조남찬 한국광업협회 회장은 “전기자동차 한 대를 만드는 데 들어가는 구리 양은 대략 80㎏으로 기존 자동차에 쓰이는 20㎏의 네 배”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처럼 중요한 자원이지만 갈수록 구리를 확보하는 것에 어려움이 커지는 상황이다. 구리의 원석인 동광석은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쓰이는 광산물 가운데 철광석·니켈에 이어 총수요 3위를 기록했지만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의 해외 자원개발 비리로 한국광물자원공사가 제 역할을 못하면서 해외 자원을 들여오는 기능이 사실상 마비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3월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 광물공사와 광해공단을 통폐합해 한국광업공단을 설립하는 ‘광물공사 기능조정 세부방안’을 확정한 후 광물공사는 시한 없이 보유 중인 해외 자산을 모두 매각하는 것을 원칙으로 세우고 있다.

또 최근 들어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와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등으로 전략물자 확보의 중요성이 높아진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일본은 전략물자 수출규제를 통해 한국의 주력 산업을 어렵게 만들고 있으며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전쟁에서 희토류 수출중단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등 각국이 자원을 무기로 적극 활용하는 상황이다.

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구리를 제때 확보하지 못하게 되면 한국의 주력 산업이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구리 확보를 위해 나서는 것은 산업의 안정적 발전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고병기·김우보·변수연 기자 staytomorrow@sedaily.com

고병기·김우보·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