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차, 中에 '글로벌 혁신기술 네트워크' 구축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개소'

현대차그룹이 중국 베이징에 문을 연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크래들 베이징’. /사진제공=현대차그룹현대차그룹이 중국 베이징에 문을 연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크래들 베이징’. /사진제공=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이 다섯 번째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문을 중국에서 열었다. 현대차그룹은 중국 베이징시에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크래들 베이징’을 공식 개소하고 중국 현지 전략적 파트너들과의 협력에 박차를 가해 그룹의 신성장동력을 모색할 것이라고 23일 밝혔다.


크래들 베이징은 미국의 ‘현대 크래들 실리콘밸리’와 한국의 ‘제로원’, 이스라엘의 ‘현대 크래들 TLV(텔 아비브)’, 독일의 ‘크래들 베를린’에 이은 현대차그룹의 다섯 번째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다. 그동안 현대차그룹은 인공지능(AI), 모빌리티,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로보틱스 등 미래 핵심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전 세계 혁신 거점에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를 구축하고 유망 스타트업 발굴에 힘써왔다.

관련기사



현대차그룹은 이번 크래들 베이징 공식 개소를 통해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를 완성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이자 세계 2대 창업대국 중 하나로, ‘크래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최적의 입지를 갖추고 있다고 평가된다. 특히 베이징은 중국의 청년창업 센터인 중관춘이 위치해 있고 벤처캐피털 투자사도 집중돼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말 칭화대와 ‘수소에너지펀드’ 공동 설립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중국 내 AI 분야 최고 기술력을 갖고 있는 딥글린트(DeepGlint)와의 협업 계획을 발표하는 등 현지 파트너들과 다양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피터 양 크래들 베이징 사무소장은 “전 세계가 정보기술(IT) 시대에서 데이터기술(DT) 시대로 전환해가고 있다”며 “크래들 베이징은 중국 현지 혁신 네트워크와 활발히 교류하는 ‘개방형 혁신 인터랙티브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전 세계와 공유하는 허브로의 기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한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