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리콜 대상 차량 10대 중 2대 수리 없이 '위험한 질주'




자동차 10대 중 2대는 리콜 대상인데도 불구하고 제대로 결함을 수리하지도 않은 채 도로 위를 질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송언석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4년 6개월간 리콜 대상으로 포함된 자동차는 총 707만3,736대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133만5,923대(18.9%)는 현재까지도 결함을 수리하지 않고 도로를 운행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제작·판매사는 자동차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되면 우편,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해당 차량 구매자에게 리콜 사실을 알리고 1년 6개월 이상 리콜을 실시한다.


조사 기간동안 리콜 대상이 된 전체 차량 중 국산차는 73.4%(519만여대), 수입차는 25.5%(181만여대)에 달했다. 오토바이 등 이륜차는 1.1%(8만여대)를 차지했다.

관련기사



리콜 대상 차량이 시정을 완료한 비율은 국산차가 83.4%로 가장 높았고, 수입차는 76.4%, 이륜차는 40.7%인 것으로 조사됐다.

강제 리콜 대상이 된 차량은 24만여대에 달하는데, 이 가운데 15%(3만6,000여대)가 여전히 결함을 시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12월 에어백 문제로 리콜이 진행된 르노삼성자동차의 SM6 모델의 경우 현재 시정률은 절반수준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2016년 8월 리콜에 돌입한 BMW X 시리즈 2개 모델의 경우도 시정률이 각각 43.6%, 47.4%에 불과했다.

송언석 의원은 “리콜 대상 차량의 리콜을 미루는 것은 운전자는 물론 다른 사람의 안전까지도 위협할 수 있는 행위”라며 “리콜 대상 차량 소유주는 리콜 안내를 받은 즉시 결함을 시정하고, 자동차 회사와 정부는 보다 철저히 리콜 관리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