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강화도 돼지열병 확산···돼지 33% 살처분

국내 ASF 확진 사례 9건 중 5곳 강화군

농가들 “정부, 시세보다 높게 보상 해줘야”

인천 강화지역에 아프리카돼지열병(ASF)가 확산해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린 26일 ASF가 확진된 인천시 강화군 불은면 한 양돈농장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살처분 작업을 하고 있다./연합뉴스인천 강화지역에 아프리카돼지열병(ASF)가 확산해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린 26일 ASF가 확진된 인천시 강화군 불은면 한 양돈농장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살처분 작업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인천 강화군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진 판정을 받은 농가가 5곳으로 늘어나자 돼지 살처분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27일 인천시는 “국내에서 아홉번째로 돼지열병 확진 판정이 나온 강화군 하점면 확진 농가 주변 3km 반경에 있는 돼지 2,820두를 살처분해 매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강화군에서 살처분되는 돼지들은 15개 농가 1만2,584마리로 증가했다. 이는 강화군에서 사육되고 있는 돼지 3만8,001마리 중 33%에 해당하는 수준이며, 인천 전체 사육 돼지 4만3,108마리의 29% 규모다.


지난 17일 경기도 파주에서 국내 최초로 돼지열병이 발생한 이후 강화도에서는 24일 송해면, 25일 불은면, 26일 삼산면 석모도·강화읍, 27일 하점면 등지에서 돼지열병 확진 농장이 발견됐다.



국내 돼지열병 확진 사례 9건 중 최근 5곳이 강화군에 집중된 상황이다. 강화도의 경우 본섬이 아닌 서쪽 석모도까지 퍼져 24일부터 사흘간 네 차례나 확진 판정이 나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축산차량 출입이 없었던 것으로 전해진 강화군 옆 석모도 폐농장에서도 확진 판정이 나오자 감염 원인에 대한 의문이 더해지고 있다.

강화군 양돈 농가들은 하루아침에 이제껏 키워온 돼지를 땅에 묻어야 하는 현실에 낙심하며, 돼지열병이 강화도 전체 지역으로 확산하지 않을까 염려하고 있다. 또 정부가 살처분한 돼지에 대해 시세보다 더 높은 금액으로 보상해줘야 한다고 요청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가축재해보험에는 돼지열병을 담보하는 상품이 없어 농가가 보험금으로 보상을 받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정아임인턴기자 star454941@sedaily.com

정아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