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데일리 국제금융시장] 탄핵 등 美 정치권 불확실성에 하락

트럼프 탄핵 다른 리스크 높이거나 줄여

美, 화웨이 임시허가 연장 안 해줄 듯

26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을 둘러싼 공방이 계속되면서 하락했다.

시장정보업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79.59포인트(0.30%) 떨어진 26,891.12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은 7.25포인트(0.24%) 내린 2,977.62, 나스닥은 46.72포인트(0.58%) 하락한 8,030.66에 거래를 마쳤다.


시장은 탄핵 추진 소식과 탄핵 정국이 다른 정책에 미칠 영향에 우려했다. 탄핵안이 하원을 통과하더라도 공화당이 주도하고 있는 상원을 통과할 가능성이 적지만 정치 혼란이 이어지면 미중 무역협상이나 예산안 같은 다른 경제정책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JP모건의 조셉 럽톤 수석 글로벌 경제학자는 “트럼프 탄핵은 매우 초기 단계라 결과가 불투명하고 상원의 탄핵 가능성도 매우 낮다”면서도 “탄핵 절차는 다른 지정학적 리스크를 증폭시키거나 반대로 감소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AFP연합뉴스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AFP연합뉴스



미중 무역협상 관련 소식은 엇갈렸다. 미 당국이 화웨이가 미국 기업으로부터 부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한 임시 유예 조치를 연장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불안감이 커졌다. 미 당국은 지난 5월 화웨이 제제를 일시적으로 유예했고 지난 8월 이를 90일 추가 연장했다. 장 후반에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미국이 관세 유예 등으로 선의를 보인 만큼 중국도 미국산 농산물을 더 살 것이라고 말해 다시 낙관론이 부상했다. 이와 관련해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중국이 미국산 대두 구매를 늘리는 행보에 나선 것은 무역 협상이 진전되고 있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이날 발표된 시장 지표는 대체로 예측과 부합했다. 이날 미 상무부는 2·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확정치가 2.0%(연환산 기준)라고 발표했다. 앞서 발표된 잠정치와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다. 2·4분기 개인소비지출은 4.6% 증가했다. 잠정치 4.7%보다 내려갔다. 기업투자 지표인 비거주용 고정투자도 잠정치 0.6% 감소가 1.0% 감소로 감소폭이 커졌다.

국제유가는 엇갈렸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0.1%(0.08달러) 하락한 56.4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11월물 브렌트유는 0.46%(0.29달러) 상승한 62.68달러에 거래됐다.

국제금값은 소폭 올랐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은 전날보다 온스당 0.2%(2.90달러) 오른 1,515.2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