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코오롱생명과학, 위탁생산 도전…신생아 HIE 치료후보물질 생산계약

서울 강서구 마곡동로 코오롱생명과학 본사 /연합뉴스서울 강서구 마곡동로 코오롱생명과학 본사 /연합뉴스



성분이 뒤바뀐 유전자치료제 ‘인보사케이주(이하 인보사)’ 사태로 최대 위기에 내몰린 코오롱생명과학이 위탁생산(CMO) 사업에 도전한다. 인보사의 생산·판매 중지 처분으로 가동이 중단됐던 충주공장을 활용해 신규 매출을 일으키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코오롱생명과학이 에스엘바이젠과 신생아 HIE (허혈성 저산소 뇌병증) 치료제 후보물질인 ‘BM102’에 대한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BM102는 출생 직후 생명을 위협하고, 생존하더라도 뇌병변 장애가 남아 평생 재활 치료가 뒤따라야 하는 신생아 난치성 뇌질환으로 알려진 신생아 HIE 분야의 치료제 후보 물질이다. 신생아 HIE 분야는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어 최근 줄기세포 치료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계약은 2022년 12월까지 코오롱생명과학 충주공장에서 제조용 세포은행의 성공적인 이전과 임상 시료 생산을 위한 표준 공정서 개발(SOP) 및 프로토콜 개발, 각종 밸리데이션, 시험 생산 및 임상 1상 시료를 진행하는 내용이다.



코오롱 측은 이번 프로젝트가 CMO 사업의 첫 도전인 만큼 세포유전자치료제 분야에 서 축적된 생산 노하우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료를 위해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장원규 코오롱생명과학 충주공장 상무는 “인보사 생산·판매 중지로 공장가동이 중지된 것은 사실이지만, 세포치료제 공장으로서의 생산 능력과 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규칙(GMP) 운용수준은 국내 최상위 수준”이라며 “이번 계약체결을 계기로 향후 국내뿐 아니라 세계시장을 상대로 본격적인 세포치료제 CMO 사업 전개의 타당성에 관한 검토도 적극적으로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에스엘바이젠은 10개의 세포치료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연구개발(R&D) 중심의 회사다. 2006년경부터 DNA 백신과 세포치료제 연구를 시작으로 신약개발 후보 선정 및 임상 1상 진출을 목표로 도약기를 준비 중이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