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소기업에 진입장벽 높이는 나스닥

상장 규제 강화 등 나서

지난 4월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에 있는 대형 나스닥전광판 앞을 사람들이 지나고 있다. /뉴욕=블룸버그지난 4월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에 있는 대형 나스닥전광판 앞을 사람들이 지나고 있다. /뉴욕=블룸버그



기술주 중심의 미국 주식시장인 나스닥이 중국의 소규모 기업들에 대한 진입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2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나스닥이 중국의 소규모 기업들에 대한 상장 규정을 강화하고 승인을 지연하는 방법으로 기업공개(IPO)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기업이 IPO 때 자금 대부분을 미국 투자자가 아닌 중국 쪽에서 모으는 경향이 강해진 데 따른 조치다.


나스닥에 상장된 중국의 소규모 기업들은 기업 관계자 등 소수가 주식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유동성이 낮아 대형 기관투자가들이 관심을 두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중국 온라인 제약업 네트워크인 ‘111’은 지난해 나스닥에 상장해 1억달러(약 1,196억원)를 유치했으나 주식 대부분이 임원들의 지인들에게 팔렸다.

관련기사



이에 나스닥은 지난해 10월 상장규정 변경을 공표하고 지난달부터 실시에 들어갔다. 여기에는 주식 평균 거래량 요건이 상향되고, IPO 때 주주의 50% 이상이 최소 2,500달러(약 300만원)씩을 투자하도록 하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나스닥은 또 지난 6월 미국과 연계된 주주·사업체·경영진·이사가 없는 곳을 포함해 미국 자본시장과 ‘강하고 충분한 연결성’을 가지지 않은 기업들의 상장 승인을 미룰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나스닥의 이번 조치와 관련한 보도는 백악관이 주식시장에서 중국 기업 퇴출 등 대(對)중국 투자 제한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나왔다. 그러나 한 소식통은 소규모 중국 기업들에 대한 나스닥의 진입 규제 강화가 백악관과의 논의 결과는 아니라고 전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