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이통3사 모바일 운전면허증 내년 상용화

경찰청·도로교통공단과 MOU

QR·바코드로 면허 확인 서비스

이통 3사가 이르면 내년 1·4분기 상용화를 준비 중인 공동 본인인증 애플리케이션 ‘패스’ 기반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의 예시 화면/사진제공=이통 3사이통 3사가 이르면 내년 1·4분기 상용화를 준비 중인 공동 본인인증 애플리케이션 ‘패스’ 기반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의 예시 화면/사진제공=이통 3사



이르면 내년 1·4분기부터 ‘모바일 운전면허증’이 도입돼 스마트폰으로 운전 자격과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와 경찰청, 도로교통공단은 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통 3사는 공동 본인인증 애플리케이션(앱) ‘패스’(PASS)를 기반으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개발해 내년 1·4분기 중 상용화할 계획이다. 이용자가 스마트폰의 ‘패스(PASS)’ 앱에 실물 운전면허증을 등록하면 경찰청·도로교통공단의 ‘운전면허정보 검증 시스템’과 연동돼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운전 자격과 신원을 확인하는 식이다.


QR코드나 바코드 형태로 표출되는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는 기존 카드 형태의 실물 운전면허증과 효력이 동일해 번거롭게 면허증을 소지하고 다닐 필요가 없다. 통신 3사는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2,500만 명 이상이 가입한 패스 앱의 부가서비스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빠르게 배포할 수 있고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연동을 통해 사용처 확산이 용이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통 3사는 블록체인 기술로 암호화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금융 서비스에 적용되는 백신·보안 키패드 등 다중 안전장치도 적용한다. 개인정보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운전면허증 관련 모든 정보를 스마트폰 내부 안전 영역에만 저장한다. 사용자의 개인정보 제공 이력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사용자가 자기 개인정보를 직접 소유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주권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라고 설명했다.

이통 3사는 우선 공유차량 서비스 사업자 ‘쏘카’와도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도입을 타진할 계획이다. 명의도용이나 무면허 운전에 따른 사고 예방을 위해서다. 다른 공유차량이나 공유 전동 킥보드 서비스 등 운전 자격 확인이 필요한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으로도 적용 대상을 넓힐 방침이다.

이번 협약은 이통3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술(ICT)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획득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관련 임시허가를 바탕으로 추진됐다.

업계는 이번 서비스가 모바일 간편 결제와 더불어 지갑 없이 휴대전화만으로 생활할 수 있는 사회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했다.


박수철(왼쪽부터) KT 금융플랫폼사업담당, 이영상 경찰청 교통국장, 오세현 SK텔레콤 블록체인/인증 유닛장, 남승한 LG유플러스 e-비즈사업담당이 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이통3사박수철(왼쪽부터) KT 금융플랫폼사업담당, 이영상 경찰청 교통국장, 오세현 SK텔레콤 블록체인/인증 유닛장, 남승한 LG유플러스 e-비즈사업담당이 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이통3사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