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BPA,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입점업체 시설사용료 60% 감면

일본 경제제재 조치 여파에 따른 일본제품 불매운동과 반일감정 확산의 영향으로 부산항 국제여객선 탑승객이 급감하자 부산항만공사가 영업상 어려움을 겪는 국제여객터미널 내 입점업체와 상생방안 마련에 나섰다.


2일 부산항만공사(BPA)에 따르면 BPA는 터미널 이용고객 위주의 수익구조에 따라 영업환경 악화로 폐업위기에 처한 영업(수익)시설 입점업체를 대상으로 탑승객이 급감하기 시작한 8월부터 연말까지 5개월간 시설 사용료를 60% 감면한다. 현재 BPA는 입점업체 지원을 위해 시설사용료 납부 유예, 임시휴업 및 판로확대 지원, 편의시설 확충 등을 진행하고 있으나 탑승객 감소 폭이 커지자 추가적으로 시설사용료 60% 감면이라는 특단의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일본 경제제재가 시작된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일본으로 운항하는 국제여객선 탑승객이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61.8% 감소했다. 9월 들어서는 감소 폭이 80.2%로 더욱 늘어났다. 이 때문에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은 당초 부산에서 일본으로 운항하는 5개 항로에 국제여객선 12척이 운영 중이었으나 일본 경제제재 조치 이후 탑승객 급감에 따라 이즈하라행 1개 항로는 운항이 중단됐고 나머지 4개 항로 중 3척은 휴항, 2척은 격일제로 나눠서 운항하고 있다.

BPA는 이번 감면대책으로 예측 불가능한 사유로 영업한계 상황에 처한 입점업체의 폐업을 방지하고 영업 부담을 함께 부담함으로써 정부가 추진 중인 공정한 시장경제 구축 및 거래상대방 권익보호를 통한 공공기관 공정문화 확산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남기찬 BPA 사장은 “탑승객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입점업체와 상생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