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성신여대입구 지하철역, 라돈 WHO 기준 3배 초과 검출

보문·북한산보국문·솔샘·삼양역…미국 환경청 기준 초과 역사 13곳

신용현 의원 “더 많은 역에서 검출될 수 있다. 대책 시급”

서울시 “대형선풍기 설치·환기 시간 확대 등 대책 시행 중”

/연합뉴스/연합뉴스



서울 지하철역 5곳에서 1급 발암물질 라돈이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인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가 라돈을 측정한 지하철 역사 52곳 중 라돈 농도가 WHO 기준(100㏃/㎥)을 초과한 역사는 성신여대입구, 보문, 북한산보국문, 솔샘, 삼양역 등 5곳이었다. 이 중 환경부 다중이용시설 권고기준(148Bq/㎥)을 초과하는 역사는 삼양역을 제외한 4곳이었다. 해당 역들은 모두 우이경전철에 있는 역들이다.

관련기사



라돈 농도가 가장 높은 역은 성신여대입구로 WHO 기준치의 3배인 313.9Bq/㎥에 달했다. 이어 보문(194.7Bq/㎥)·북한산보국문(193.8Bq/㎥)·솔샘(158.2Bq/㎥)·삼양(131.2Bq/㎥) 순이었다. 미국 환경청 기준(74㏃/㎥)을 넘은 역사는 앞서 언급된 5곳을 포함해 남태령(4호선), 충정로(5호선), 마들(7호선), 중계(7호선), 서울숲(분당선), 삼양사거리(우이경전철), 정릉(우이경전철), 삼전(9호선) 등 8개 역사 등 총 13곳이었다.

신용현 의원은 “52개 역사만 대상으로 한 조사이기에 실제 더 많은 역에서 라돈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될 수 있다”며 “역사 내 라돈 물질은 성인뿐 아니라 영·유아에게도 유해한 만큼 라돈 전수조사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이에 서울시는 “정부 기준치를 넘은 4개 역은 심도가 깊고 암반이 많은 지역”이라며 “해당 역에서는 역마다 대형 선풍기 4대를 운영하고 환기가동시간을 확대하는 등 저감 대책을 시행 중”이라고 해명했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