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상사 눈치·과도한 업무로 휴가 못가"

경기연구원 근로자 1,000명 설문

여행 비용도 부담...워라밸 저해

"가정·직장생활간 갈등 경험" 80%

직장 상사와 동료의 눈치, 과도한 업무로 휴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절반에 달해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소득수준이 낮으면서 미취학 자녀가 있는 경우 가정과 직장생활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지난달 24∼25일 도내 30·40대 기혼 근로자 1,000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이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조사 결과 응답자 80.4%는 가정과 직장생활 간 갈등을 경험하였으며, 그 결과 가족 간 대화시간 부족(44.1%), 집안 환경 저하(25.1%), 가족과 마찰횟수 증대(16.6%) 등의 문제점이 대두한다고 응답했다.


갈등경험 비중은 미취학 자녀가 있는 경우(84.9%)가 없는 경우(77.3%)보다 7.6%포인트 높았으며, 미취학 자녀 수가 많을수록 갈등경험 비중도 높아져 3자녀 이상일 경우 90.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관련기사



월 400만원을 기준으로 소득수준을 구분한 결과 월 400만원 미만이면서 미취학 자녀가 있는 경우 51.8%가 워라밸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자녀가 있는 응답자 81.0%는 자녀와 보내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휴가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상사와 동료의 눈치(25.2%), 과도한 업무(22.7%), 여행비용 부담(13.7%) 순으로 나타났다. 미취학 자녀가 많을수록 여행휴가 비중(40.0%)이 낮으며 여행비용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휴가지원정책을 도입하면 부모-자녀 관계에 긍정적 영향(88.4%), 자녀동행여행 증가(84.5%), 워라밸 증진(83.4%) 등으로 기대효과가 나타나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도균 경기연구원 전략정책부장은 “중소기업 종사자 혹은 비정규직 다자녀가구는 워라밸 불균형을 경험할 확률이 높기에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휴가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부모와 자녀가 함께 보내는 시간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다자녀가구 안식년 제도’ 같은 과감한 정책 검토가 필요하다”며“특히 휴가권의 보장은 근로자 당사자의 워라밸 뿐만 아니라 부모-자녀 관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