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IMF “주요국 기업부채 40% 디폴트 위험”

“한국 은행 시스템 취약한 자산에 노출”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IMF 본부 청사./로이터연합뉴스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IMF 본부 청사./로이터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은 16일(현지시간) ‘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채무불이행(디폴트) 리스크가 있는 주요 경제권의 기업부채가 오는 2021년에는 19조 달러(2경2,6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과 중국, 일본, 유로존(독일·프랑스·영국·이탈리아·스페인)을 집계한 것으로, 이들 8개국 기업부채 총액의 40%에 육박하는 규모다.

IMF는 “기업부채가 전 세계적으로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시스템적인 위기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면서 “특히 투기등급의 기업부채는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에 근접했거나 그 이상”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미국에서 과도한 차입을 통한 인수·합병(M&A)이 늘어났다면서 “미국 기업의 차입매수(LBO)가 급격히 증가했고, 이는 기업신용도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신흥시장에 대해서도 “브라질과 인도, 한국, 터키의 은행 시스템이 취약한 자산에 많이 노출돼 있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글로벌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기업부채가 눈덩이처럼 커졌다는 게 IMF의 판단이다.

IMF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7월과 9월 두차례 걸쳐 기준금리를 총 0.50%포인트 인하했다”면서 “이런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 정책 기조 속에 위험자산이 불어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IMF는 “일본과 미국의 증시도 과대평가됐다”면서 “지난 4월 이후로 미국 증시의 펀더멘털이 악화했지만, 주가는 상승했다”고 평가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