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문에 끼고, 발 빠지고...'...서울지하철 사고부상자 5년간 2,500명

황희 “대표 대중교통 수단인 만큼 종합대책 마련 필요”

서울 지하철 3호선 을지로3가역 /연합뉴스서울 지하철 3호선 을지로3가역 /연합뉴스



최근 5년간 서울 지하철 1∼8호선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로 인한 부상자가 적어도 2,500명 이상인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2018년 연간 서울 지하철 1∼8호선 안전사고 부상자 수는 각각 393명, 691명, 620명, 618명이었다. 올해는 9월까지 252명이 다쳤다. 이는 안전사고로 치료비를 지급 받은 이용자만 포함한 수치다. 치료비를 받지 않은 부상자까지 더하면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형별로는 출입문 끼임 사고 부상자가 904명으로 가장 많았다. 승강장 발 빠짐도 381명에 달했다. 노선별로는 2호선이 752명으로 가장 많고 4호선 525명, 3호선 341명, 7호선 319명 등이었다. 성신여대입구역에서 가장 많은 130명이 다쳤고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124명, 4호선 충무로역 122명, 2호선 사당역 111명 순이었다. 황 의원은 “서울 지하철은 하루 780만명, 연간 28억명의 시민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인 만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선제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아임인턴기자 star454941@sedaily.com

정아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