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뷰노, 항우울제 효능 예측 소프트웨어 '디프리딕트' 개발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 기업 뷰노는 22일 유럽 대표 뇌영상의학 및 뇌신경과학 분야 기업 및 연구기관과 협력해 인공지능으로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항우울제 효능을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디프리딕트’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디프리딕트는 주요우울장애 환자에게 항우울제 투여 후 촬영한 자기공명영상(MRI)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투여 약물의 장기적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개발로 2022년까지 진행된다. 해당 프로젝트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와 유레카 사무국이 운영하는 국제공동기술개발 프로젝트인 유로스타2 지원을 받기도 했다.


이는 정신 의학 분야에 영상의학과 딥 러닝 기술을 접목해 항우울제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세계 최초 연구다. 특히 절반 이상의 환자가 1년이 넘는 치료 기간 동안 효능을 보이는 치료제를 찾지 못하고, 부작용 위험이 높은 항우울제 시도를 반복해야 하는 주요우울장애 치료에 디프리딕트 도입 시 항우울제 탐색 과정을 75% 감소시킬 수 있다.

관련기사



뷰노는 뇌 MRI 기반 알츠하이머 질환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한 성과를 바탕으로 해당 연구 프로젝트의 컨소시엄에 선정됐다. 항우울제 투여 후 촬영한 MRI에서 특이 패턴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투여 약물의 장기적 치료 효과를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이예하 뷰노 대표는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 솔루션으로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특정 항우울제 효능 발현 여부를 조기에 예측하게 함으로써, 임상환경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뷰노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를 선도하는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 기업으로서 이번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