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밭농사 물관리도 AI로 '척척'

농진청 국내 첫 관개시스템 개발

밭에서 재배하는 작물도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물 관리를 할 수 있게 됐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처음으로 인공지능으로 작물 수분 스트레스를 진단하고 처방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작물 수분 스트레스 기반 스마트 관개시스템(이하 스마트 관개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노지(밭) 작물 재배는 폭염과 가뭄 등 기후변화에 취약하고 시설재배와 달리 환경제어가 어려워 정확한 생육 정보와 환경 진단, 작물 재배에 필요한 관개 의사결정이 매우 중요하다. 이 때문에 기존에는 토양 안에 설치한 센서에서 실시간 수분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설정 값 이하일 때만 자동으로 물을 공급했다.

관련기사



이번에 개발한 ‘스마트 관개시스템’은 날씨 변화에 따른 작물의 생체 반응 정보를 영상기술로 진단해 물 공급 시기를 판단하는 국내 최초의 노지 적용 사례라 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수집·저장·처리한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현재 또는 미래에 작물이 필요한 물의 양을 알 수 있다.

이 관개시스템을 복숭아와 사과 재배에 적용한 결과 과일 무게는 14∼26%, 당도는 8%, 안토시아닌 함량은 64% 늘었다.

이승기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장은 “작물이 받는 수분 스트레스를 미리 진단해 필요한 때 필요한 양만큼만 물을 주므로 농업용수를 25∼31% 절약할 수 있고 물 관리에 드는 노동력도 95%가량 줄일 수 있다”며 “출원한 특허기술을 산업체에 이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