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韓 석유제품 수출 2분기 연속 감소

경기둔화로 증가세 6년만에 멈춰




국내 정유업계가 수출한 석유제품 물량이 2분기 연속 감소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수출 물량 증가세가 6년 만에 멈추게 됐다.

24일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국내 정유 4사가 3·4분기 수출한 석유제품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1억2,723만배럴을 기록했다. 지난 2·4분기 5.7% 감소한 데 이어 2분기 연속 감소한 것이다.

3·4분기 누적 기준 수출물량은 3억6,253만배럴로 전년 동기 대비 0.8% 감소했다. 지난 2014년부터 이어지던 수출물량 증가세가 6년 만에 멈춘 것이다.


석유협회는 미중 무역분쟁 등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로 국제 석유 수요가 감소한 것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올 상반기 일 평균 석유 수요는 4,720만배럴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0.6% 줄었다. 국내 석유제품 소비도 3·4분기 누적 기준 전년보다 1.4% 감소했다.

관련기사



3·4분기 석유제품 수출액은 92억8,0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5% 감소했다.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석유제품 수출 단가도 떨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국가 주요 13대 수출품목 순위에서는 전년 동기와 같은 4위를 유지했다. 수출대상 국가도 지난해 3·4분기 51개국에서 올해는 62개국으로 늘었다.

석유 제품별 수출량은 경유가 4,959만배럴로 가장 큰 비중(39%)을 차지했고 항공유(21%), 휘발유(18%), 나프타(9%)가 뒤를 이었다. 다만 벙커C유 수출은 황 함량 상한선을 0.5%로 제한하는 국제해사기구(IMO) 규제가 임박하면서 26% 감소했다.

석유협회의 한 관계자는 “최근 글로벌 경기침체로 석유제품 수출이 다소 주춤했지만 내년 초 시행될 ‘IMO 2020’ 규제에 맞춰 저유황 연료유 공급과 수출국 다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