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담보 아닌 기업 '미래가치' 보고 투자...돈과 노하우 지원

[4차산업혁명委 규제완화 권고-스마트자본이란]

매출보다 기술·성장성으로 기업 투자

VC, 엑셀러레이터, 엔젤 등이 주역

창업-확장-M&A 등 맞춤형 지원체계 형성해야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25일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생산요소로 ‘스마트자본’을 꼽고 이를 고도화할 것을 정부에 권고하면서 그 배경이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자본은 창업부터 확장·인수합병(M&A) 등 기업의 성장 과정을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자본을 의미한다. 스마트자본은 돈과 더불어 해당 기업이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각종 노하우 등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통적 자본과 다르다. 스마트자본은 어느 기업에 투자할지를 결정하는 방식에서도 전통적 자본과 차별화된다. 특히 기업의 재무상태·담보력 등이 아니라 미래가치인 기술력·성장성 등을 기준으로 투자 여부를 판단해 자금을 제공한다. 반면 기존의 은행을 비롯한 전통적 자본이 재무상태·담보력과 같은 과거 실적, 현황을 기준으로 대출 여부를 판단해 벤처·중소기업이 기술력이 있어도 자금을 지원받기 힘든 점과 대비된다.



스마트자본이 산업계 적재적소에 흘러가도록 길잡이 역할을 하는 주체는 액셀러레이터·밴처캐피털(VC)·엔젤투자자들이다. 이들의 활약으로 국내에서도 9개의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의 스타트업)이 탄생할 수 있었다. 국내의 대표적인 액셀러레이터 스파크랩의 김유진 공동대표는 “투자자금과 경험·멘토링 등 보유하고 있는 자원을 스타트업에 제공해 스타트업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과거 대기업 상사가 담당했던 글로벌 진출 역시 스마트자본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스파크랩의 경우 대만과 호주, 중국 베이징·선전, 홍콩, 오만 등으로 영역을 확장해 국내 스타트업의 확장을 지원한다. 김 대표는 “한국과 대만·베이징 등에서는 국내 창업자들이 글로벌로 진출해 성공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