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새집 선호도 지방이 더 커…‘힐스테이트 어울림 효자’에 문의 쏟아져







새 아파트가 황금시대를 맞고 있다. 전체 아파트 값 평균치를 20% 이상 따돌리며 지역 부동산시장을 선도하고 있어서다. 특히 새 아파트 공급이 드문드문 있는 지방 도시일수록 새 아파트와 기존 아파트의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B국민은행 부동산플랫폼 KB부동산 리브온은 7월 말 기준 입주 2년내 전국 새 아파트를 분석한 결과 630개 단지의 3.3㎡당 매매가는 1512만원으로, 전국 아파트 3.3㎡당 평균 가격(1203만원)보다 25.7% 높았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새 아파트 3.3㎡당 매매가가 1851만원으로 해당지역 전체 평균(1640만원)보다 211만원(13%) 높았다. 반면 지방은 새집이 해당지역 평균(746만원)보다 무려 46%(344만원) 높은 1090만원을 기록했다. 수도권보다 가격 격차가 133만원 컸다.

부동산 전문가는 “지방도 수도권과 마찬가지로 신축 아파트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 심리가 있고, 노후 주택 비율이 높은 곳이 많아 새집 선호 현상이 큰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브랜드 건설사가 짓는 대단지의 경우 구매 가치가 더 높아 매수 수요가 꾸준하다”고 말했다.

- 지방 주요도시 새 아파트는 노려라


공급을 앞둔 지방 새 아파트에도 벌서부터 문의가 쏟아지고 있다. 가장 주목을 받는 곳은 전북 전주시 효자동에 나오는 ‘힐스테이트 어울림 효자’ 아파트다. 지하 3층~지상 최고 17층, 17개동 총 1248가구 대단지로 조성되며, 전용면적 59~101㎡ 905가구가 일반분양된다. 11월 1일 견본주택 오픈 예정이다.

관련기사



특히 단지는 1000가구 이상 대단지여서, 규모가 작은 새 아파트보다 더 높은 가격 상승폭도 기대해볼만 하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작년 전국 1000~1499가구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10.1%에 달해 700~999가구 7.5%, 500~699가구 7.4% 등 규모가 작은 단지의 가격 상승폭을 웃돌았다.

‘라이프스타일 리더(Life-Style Leader)’로 구체화된 현대건설 브랜드 파워도 돋보인다. 실제로 힐스테이트 어울림 효자는 전 세대를 남향위주로 배치하여 일조와 채광을 극대화했고, 소형부터 중·대형까지 다양한 평면으로 구성해 수요자들의 선택폭을 넓혔다. 또한 정비사업에서 보기 드문 특화 평면도 적용될 예정이다.

전용면적 78㎡ 일부 타입과 전용면적 84·101㎡ 전 타입에 4베이(BAY) 설계를 도입해 발코니확장 서비스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침실이 4개소인 4룸(ROOM)으로 구성된다. 거실에는 우물형 천장고로 설계해 2.45m 천장고로 공간감을 높였으며, 1층 세대는 이보다 높은 2.75m 천장고로 설계 할 예정이다.

현대건설 홈 IoT 시스템 ‘하이오티(Hi-oT)' 기술도 적용된다. 조명 및 난방 제어, 에너지 사용량 조회 등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으로 택배 조회, 엘리베이터 호출 등이 가능한 서비스도 예정돼 있다.

다채로운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도 돋보인다. 피트니스센터, GX룸, 실내골프연습장 등 스포츠 공간과 옥상정원, 상상도서관, 주민회의실, 클럽하우스 등이 꾸며져 입주민들의 여가 생활을 돕는다.

한편 힐스테이트 어울림 효자 견본주택은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3가 1643-2번지에 위치하며, 1일 오픈 예정이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